의사 수 적지만, 외래 진료는 가장 많아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병상 수도 OECD 중 가장 많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임상 의사 수는 두 번째로 적은 반면, 병상 수와 국민 1인당 외래 진료 횟수는 가장 많았다.

30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OECD 보건통계 2025’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환자를 진료하는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000명 당 2.66명으로, OECD 국가(평균 3.86명) 가운데 일본(2022년 기준 2.65명) 다음으로 적었다.

의사 계열 졸업자(한의학 포함·치의학 제외)는 2023년 인구 10만 명당 7.4명으로, OECD 국가(평균 14.3명) 가운데 이스라엘(7.2명), 캐나다(7.3명)에 이어 세 번째로 적었다.

병상 수는 OECD 전체 국가 중 가장 많았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 병원의 병상 수는 인구 1000명당 12.6개로, OECD 평균(4.2개)의 세 배에 달했다. 의료 장비 가운데 자기공명영상(MRI) 이용량은 인구 1000명당 90.3건으로 평균보다 적었고, 컴퓨터단층촬영(CT) 이용량은 333.5건으로 전체 회원국 중 가장 많았다.

국민 1인이 의사로부터 외래 진료를 받은 횟수는 2023년 기준 연간 18.0회로, OECD 평균(6.5회)의 2.8배 규모이자 회원국 중 가장 많았다. 우리나라 입원 환자의 1인당 평균 재원 일수는 17.5일로, OECD 국가(평균 8.1일) 중에서 일본(26.3일) 다음으로 길었다.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건수는 2022년 기준 출생아 1000명당 610.6건으로, 회원국 평균(292.5건)의 배 이상이자 전체 1위였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