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교체 시작됐지만… 재고 소진에 가입자 발 동동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서비스 1시간 전부터 긴 대기 줄
교체 예약 시스템도 접속 지연 돼
500만 개 확보로는 역부족 전망
SKT “보호 서비스 가입” 권장

SK텔레콤이 유심 고객정보 해킹 사고로 관련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에 나선 28일 부산 시내 한 SK텔레콤 대리점에 유심 재고 소진 안내문구가 적혀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SK텔레콤이 유심 고객정보 해킹 사고로 관련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에 나선 28일 부산 시내 한 SK텔레콤 대리점에 유심 재고 소진 안내문구가 적혀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SK텔레콤이 ‘유심 교체’ 서비스를 28일 시작했으나 곳곳에서 혼란이 발생했다. 대리점마다 유심을 교체하려는 가입자들이 길게 줄을 서야 했고 교체 예약 서비스는 접속이 지연되는 모습을 보였다. 여기에 SK텔레콤이 가입자 수를 유지하기 위해 단발성으로 높은 보조금을 지급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SK텔레콤이 이날 오전 10시부터 전국 2600여 곳의 ‘T월드’ 매장에서 전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심 교체 서비스를 시작하자 예약 없이 현장으로 가입자들이 몰렸다. 특히 부산에서 명의 도용으로 알뜰폰이 개설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부산 가입자들은 더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부산 부산진구 부전동의 한 ‘T월드’ 매장의 경우 이날 유심 교체 서비스 시작 1시간 전인 9시부터 가입자 20여 명이 몰렸다. 한 가입자는 “출근 전에 잠깐 왔는데 재고가 없을 수 있다는 말에 아침부터 줄을 섰다”고 말했다. 고령인 부모를 대신해 대기 줄에 선 사람도 있었다.

유심 교체 대열에 서 있던 한 가입자는 “이곳에 재고가 없을까 봐 다른 대리점에 전화를 돌리고 있다”며 “다른 대리점에 지인이 대신 줄을 서고 있는데, 재고가 있다고 하면 바로 달려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직장인 이 모(31) 씨는 “점심에 잠시 시간 내 대리점을 방문했는데 대기 줄이 길어 허탕을 쳤다”며 “가뜩이나 부산에서 유심 피해 사례 기사가 나와 더 불안하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이날 운영에 들어간 ‘유료 무심 교체 예약 시스템’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온라인으로 대리점을 지정해 유심 교체를 예약하는 방식의 이 시스템은 이날 오전 오전 8시 30분부터 운영됐는데 접속자가 몰리면서 ‘대기 화면’에 머무는 상황이 반복됐다.

유심 교체 예약 서비스의 접속이 지연되는 모습. SKT 홈페이지 캡처 유심 교체 예약 서비스의 접속이 지연되는 모습. SKT 홈페이지 캡처

하지만 대리점마다 이날 확보한 유심 물량이 부족해 유심 교체가 조기에 중단됐다. 이런 우려는 SK텔레콤이 무료 유심 교체를 선언한 직후 곧바로 제기됐다. SK텔레콤은 현재 약 100만 개의 유심을 보유하고 있으며 5월 말까지 약 500만 개의 유심을 추가로 확보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SK텔레콤 이동전화 가입자는 2300만 명에 달한다.

SK텔레콤은 먼저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하면 해킹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피해가 발생하면 100%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동통신 업계에서는 SK텔레콤이 ‘번호 이동’ 보조금을 일시적으로 상향하는 ‘보조금 대란’이 발생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보조금 성지’로 불리는 일부 온·오프라인 매장에서는 “갤럭시 S25 SK 번호 이동 대란 소식을 전한다”면서 “SK텔레콤 개인정보 유출 이슈로 번호이동 수요가 폭발하고 있는데 이 기회를 노려 S25 특가 대란이 터졌다”고 공지했다. 보조금 논란과 관련, SK텔레콤이 가입자 이탈에 대비해 타 회사 가입자를 끌어오는 ‘번호 이동’에 보조금을 집중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SK텔레콤은 “정보 유출 대응에 집중하는 상황에서 보조금을 확대할 여력이 없다”면서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경쟁사에서 일시적으로 보조금을 올리면서 대응 차원에서 보조금을 지급한 판매자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회가 지난해 연말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단통법 폐지 시행은 오는 7월 22일부터다. 이 때문에 7월 이전까지 일시적으로 많은 지원금을 일부 가입자에게 지급할 경우 법 위반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