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불모지' 동래, 인프라 확충에 주민들 팔 걷었다
인구 27만여 명인데
공공도서관은 3곳에 불과
‘교육 중심지’ 이름 무색
최근 주민대회 개최
정책 우선순위 투표 결과
도서관 건립 가장 큰 비중
주민 여론 담은 요구안
향후 구청 등에 공식 건의
기자회견 열어 홍보도
지난달 31일 부산 동래구청에서 열린 제4회 동래주민대회 결과 도서관 건립 등 11대 주민요구안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됐다. 동래주민대회 조직위원회 제공
〈부산일보〉의 ‘부산 공공도서관 리포트’ 기획 보도(부산일보 9월 18일 자 1면 등 보도)로 확인된 부산의 대표적인 ‘도서관 불모지’ 동래구의 주민들이 도서관 건립에 직접 팔을 걷고 나섰다. 주민들은 4000여 명의 여론이 담긴 요구안을 토대로 도서관 인프라 확충을 위한 시민운동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동래주민대회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지난달 31일 동래구청에서 제4회 동래주민대회(이하 주민대회)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주민대회는 주민들의 뜻에 기반해 예산 집행과 정책을 결정하자는 취지로 2021년부터 이어져 온 주민 참여 정치 행사다.
이날 주민대회에서는 미리 선정된 11대 주민 요구안의 우선순위가 투표로 결정됐는데, 도서관 인프라 확충에 대한 주민들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공립 작은 도서관 확충’(12.1%), ‘미남역 내 공립 작은 도서관 설치’(10.9%) 등 내용이 중복되는 두 요구안의 투표율을 합산하면 23%에 달했다. 단일 안건으로는 ‘공원 및 소규모 체육시설 확충’(14.7%)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투표에는 지난 9월부터 이날까지 총 3850명이 참여했다.
조직위는 이날 주민대회 결과를 토대로 동래구청에 공립 작은 도서관 등 도서관 인프라 확충을 정식으로 요구할 계획이다. 이전부터 동래구 주민들은 공공도서관 건립을 요구해 왔는데, 구청은 부지 확보의 어려움과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난색을 보여왔다. 이에 주민들은 부산도시철도 3·4호선 미남역 역사 등 지역 내 유휴 공간에 공립 작은 도서관을 건립하자고 대안을 제시했다. 접근성이 뛰어난 도심 내 유휴 공간을 작은 도서관으로 조성하고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를 강화하면, 적은 비용으로도 낮은 도서관 접근성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래구의회에서 도서관 연구 모임을 이끌며 관련 조례를 발의해 온 권영원 구의원은 “도시철도역 등에 자판기처럼 도서 대출과 반납을 할 수 있는 스마트 도서관을 설치하면 적은 예산으로도 도서관에 대한 주민들의 접근성과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며 “당장 규모가 큰 도서관 건립이 어렵다면 유휴 공간에 작은 도서관과 스마트 도서관 등을 조성해 도서관 불균형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민들이 직접 도서관 인프라 확충을 요구하고 나선 이유는 높은 인구 밀도와 학령 인구 비율 등 도서관 수요는 폭발적인데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동래구의 도서관 부족은 부산 공공도서관 리포트에서 수치로 확인됐다. 보도에 따르면 사직1동, 사직3동, 온천3동 등 동래구 서부권은 부산에서 손꼽히는 인구 밀집 지역이지만 반경 1km 이내에 공공도서관이 없다. 이곳에 사는 주민은 약 6만 3000명으로, 도서관 이용객 대부분은 시민도서관(부산진구) 등으로 ‘원정’을 떠난다. 자신을 온천동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자녀의 학부모라고 밝힌 한 주민은 “동래구에는 아이들과 함께 이용할 만한 도서관이 매우 부족하다”며 “현재 있는 도서관들도 주차 공간이 부족해 많은 주민이 이용하기가 불편하다”라고 말했다.
현재 동래구의 인구는 약 27만 명으로, 지역 내 공공도서관은 3곳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2015년, 2016년에 각각 동래읍성도서관(칠산동)과 안락누리도서관(안락동)이 문을 열면서 나아진 결과다. 이전까지 동래구에는 공공도서관이 명장도서관(명장동) 1곳뿐이었다. 동래구와 인구수가 비슷한 북구(약 26만 명)는 지난 7월 덕천도서관 개관으로 공공도서관이 5곳이 됐다.
조직위는 주민대회 결과를 구청과 구의회 등에 공식 건의하고, 도서관 증설을 촉구하기 위한 기자회견과 홍보 활동 등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동래주민대회 조영은 조직위원장은 “주민 대회 준비와 도서관 건립의 필요성을 알리는 과정에서 부산일보 기획 보도가 동래구의 현실을 확인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며 “주민 요구안이 단순히 선언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동우 기자 friend@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