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3분기 영업이익 5735억 원…흑자 전환
“유가 및 정제마진 상승에 힘입은 석유 사업의 흑자 전환”
“E&S 사업의 견조한 실적 더해져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
사진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연구원이 폐배터리 수산화리튬 직접 회수 기술 상업화 실증 설비를 통해 회수한 재활용 수산화리튬을 소개하는 모습. 연합뉴스
SK이노베이션이 2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했다. 정제 마진 상승에 따른 석유 사업 흑자 전환이 주요 원인이다. SK이노베이션은 미국에서 최대 1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ESS(에너지저장장치) 공급 계약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5735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영업손실 4233억 원)와 비교해 흑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1일 공시했다. 3분기 매출은 20조 5332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6.3% 증가했다. 순손실은 943억 원으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
SK이노베이션은 “유가 및 정제마진 상승에 힘입은 석유 사업의 흑자 전환과 LNG 발전소 계절적 성수기 효과에 따른 SK이노베이션 E&S 사업의 견조한 실적이 더해지며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사업별로 보면 석유 사업은 매출 12조 4421억 원, 영업이익 3042억 원을 기록했다. 정제마진 개선과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 관련 효과로 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7705억 원 증가했다.
배터리 사업은 매출액 1조 8079억 원, 영업 적자 1248억 원을 기록했다. SK온 통합법인으로는 영업이익 179억 원을 달성하며 2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규모는 1731억 원이었다. 올해 누적 AMPC 수혜 규모는 6173억 원이다.
SK온은 지난 9월 미국 재생에너지 기업인 플랫아이언과 1GWh 규모의 ESS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2026년에 플랫아이언이 추진하는 메사추세츠주 프로젝트에 파우치형 LFP 배터리가 탑재된 ESS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SK이노베이션 화학 사업은 매출 2조 4152억 원, 영업손실 368억 원을 기록했다. 윤활유 사업은 매출 9805억 원, 영업이익 1706억 원, 석유개발 사업은 매출 3200억 원, 영업이익 893억 원, 소재 사업은 매출 235억 원, 영업손실 501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날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SK온은 플랫아이언과 추가적으로 2030년까지 최대 6.2GWh 규모의 ESS 우선협상권을 확보했다”면서 “미국에서 다수의 고객들과 최대 10GWh 이상 규모의 ESS 공급계약 논의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SK온 기존 미국 공장의 전기차용 배터리 라인을 ESS로 전환하고 북미 지역 헤드쿼터 등 현지 운영 체계를 구축해 미국 ESS 시장 확대에 대응할 계획이다. SK이노베이션은 “ESS 시장이 아직은 성장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시장이 안정화되기 전까지는 최대한 효율화를 달성하고 투자를 최소화함으로써 투자자본수익률을 극대화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