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확보 난항… 용호만 악취 장기화 우려

박수빈 기자 bysu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남구청, 준설 사업비 3억 요청
해수부 “구청 관리 선행” 거절
시·해수청 지원 여부도 불투명
구 예산도 빠듯해 해결책 난망

악취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부산 남구 용호만 일대. 부산일보DB 악취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부산 남구 용호만 일대. 부산일보DB

부산 남구청이 용호만 일대 악취 문제(부산일보 8월 7일 자 10면 보도) 개선을 위해 준설 예산 확보에 나섰지만 사업비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다. 사업비 확보가 지연될 경우 악취로 인한 주민 불편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4일 남구청에 따르면 구청은 지난달 29일 해양수산부를 방문해 용호만 준설 작업을 위해 사업비 3억 원 지원을 요청했지만, 해수부는 불가 입장을 밝혔다. 남구청이 우선적으로 준설을 추진하는 구간은 퇴적물이 쌓이는 초입 부근 1만㎥다.

해수부는 예산 투입을 통해 오염물 유입 원인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구청 관리가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해수부는 2009년 이곳에 무기물 제거 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그럼에도 악취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또 사업비를 지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한다.

악취 원인을 두고 해수부와 남구청이 입장 차를 보이는 점도 예산 확보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구청은 일부 구간 우선 준설이 악취 해결의 첫 단추라고 주장한다. 반면 해수부는 육지에서 과도하게 많은 유기물이 용호만으로 흘러 들어가 퇴적되고 이것이 악취를 야기한다고 반박한다.

해수부 관계자는 “오염 퇴적물 정화 기준에 따라 유기물의 농도가 6점 이상을 기록해야 정화 사업 필요성이 인정되는데 용호만은 연평균 5점을 조금 웃도는 수준”이라며 “해수부가 용호만에 계속 예산을 지원하면 다른 지역과 형평성 문제도 제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남구청은 자구책으로 부산시와 부산해양수산청에도 예산 지원을 요청할 예정이지만 실제 예산 3억 원 확보 여부는 불투명하다. 확보에 실패할 경우 용호만 준설 사업비는 전액 구비로 감당해야 한다. 용호만 전체 구간을 준설하는 데는 약 14억 원이 필요할 것으로 남구청은 추정했다.

구 자체 예산을 확보하는 과정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올해 본예산 편성은 이미 마감돼 내년 추경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이 경우 내년 여름까지도 악취 문제가 이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연간 10억 원씩 편성되는 하수관로 준설 예산을 끌어 쓰는 방안도 제기되지만, 이 예산도 매년 부족해 여유가 없는 실정이다.

용호만 일대는 1963년 대규모 매립이 시작되면서 철강공장이 들어섰고, 이후 공장이 다른 지역으로 이전한 뒤에는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조성됐다. 2009년까지 이어진 추가 매립으로 해역 대부분이 메워지면서 현재는 대연천과 용호천만 좁은 수로 형태로 남아 있다. 법적으로는 바다이지만 매립 과정에서 하천의 이름을 붙여 남겨진 곳이다. 대연천과 용호천은 수질 악화와 악취 문제가 지속돼 매년 여름 관련 민원이 접수되고 있다.

남구청 건설과 관계자는 “일단 3억 원을 투자해 하루빨리 입구 부분을 준설해야 원인을 판별하고 단계적인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면서도 “다만 퇴적물의 상태에 따라 실제 준설비는 3억 원을 크게 웃돌 수 있어 구청이 단독으로 사업을 추진하기는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박수빈 기자 bysu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