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정보보호에 5년간 1조 원 투자…“막을 수 있는 보안” 강조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KT 고객 안전·안심 브리핑’ 열고 정보보호체계 혁신 강조
딥보이스 탐지 ‘KT AI 보이스피싱 탐지 2.0’ 하반기 상용화

KT가 향후 5년간 정보보호 분야에 1조 원 이상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경기도 과천시 KT 네트워크 관제센터에서 KT 직원들이 정보보안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모습. KT 제공 KT가 향후 5년간 정보보호 분야에 1조 원 이상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경기도 과천시 KT 네트워크 관제센터에서 KT 직원들이 정보보안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모습. KT 제공

KT가 향후 5년간 정보보호 분야에 1조 원 이상을 투자한다. 특히 가입자의 피해를 실질적으로 막기 위해 인공지능(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문자 기반 스팸 대응 등을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단순한 방어가 아닌, 예측하고 차단하는 ‘막을 수 있는 보안’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KT는 15일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KT 고객 안전·안심 브리핑’을 열고, 향후 5년간 정보보호 분야에 1조 원 이상을 투자해 정보보호체계를 혁신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KT는 “통신사 가운데 유일하게 정보보호에 연간 1000억 원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정보보호에 책임과 의무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투자를 대폭 늘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T는 AI 모니터링 체계 강화, 글로벌 협업 및 진단 컨설팅 확대, 제로트러스트 체계 완성, 보안전담인력 확충 등을 ‘4대 정보보호 혁신’ 목표로 제시했다. 특히 자사 보안 프레임워크인 ‘K-시큐리티 프레임워크(Security Framework)’를 운영해 고객 개인정보 보호 전 과정에 대한 철저한 통제에 나선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보안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AI 기반 미래 보안 구조를 설계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보안 전문가와 인력을 확보해 대응체계를 만든다는 설명이다. KT는 24시간 통합 네트워크 관제 인프라를 기반으로 국내 최초로 IT와 네트워크 통합 사이버보안센터를 구축해 운영한다고 강조했다.


KT는 가입자의 통신생활 피해를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준비한다고 밝혔다. 하반기에는 ‘화자인식’, ‘딥보이스 탐지’ 기능을 갖춘 ‘KT AI 보이스피싱 탐지 2.0’ 서비스를 상용화할 예정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승인 후 상용화되는 이 서비스는 지난 1월 출시한 실시간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의 차기 버전이다. KT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협력해 2만 5000건 이상의 보이스피싱 음성 데이터를 학습한 AI가 통화 중 문맥을 분석해 위험 신호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주의’ 또는 ‘경고’ 형태의 알림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KT는 자사 AI 보이스피싱 탐지 정확도가 통신사 최고 수준인 91.6%에 달하는데 상반기에만 약 710억 원 규모의 범죄 피해를 사전에 차단한 것으로 평가했다. 곧 출시되는 2.0 서비스에서는 정확도를 95%까지 끌어 올리고, 범죄 피해를 약 2000억 원 이상 예방한다는 목표다. 특히 성문(목소리 지문, Voiceprint)과 같은 목소리 특징정보를 추출해 화자를 인식하고, AI 기술로 위조된 ‘딥페이크 보이스피싱(딥보이스)’까지 탐지할 수 있는 서비스는 ‘KT AI 보이스피싱 탐지 2.0’이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KT는 문자 기반 스팸 대응도 AI로 고도화한다고 밝혔다. KT는 스팸 차단에 실시간 AI 키워드 등록 시스템을 도입해 당일 스팸 차단 건수가 기존 차단량 대비 150% 이상 증가했다면서 하반기에는 투자 유도형, SNS 대화 유도형 등 새로운 유형의 변종 스팸에 대응하는 필터링 구조 고도화를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KT는 또 스팸신고 데이터를 AI가 학습해 스팸 문자를 탐지한 후 악성 URL, 문자, 발신번호, 발송 사업자를 원천 차단하는 AI 클린메시징시스템(AICMS)을 자체 개발해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AI 엔진이 메시지 내 URL을 가상의 환경에서 접속해 스미싱 등 악성 여부를 탐지하고, 악성 URL의 소스코드 특징을 학습해 악성 여부를 판단하며, URL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엔 문맥 분석으로 스팸을 탐지한다. KT는 AI클린메시징시스템 적용 후 일평균 스팸 발신번호 차단은 66%, 스팸문자 차단 건수는 188% 증가했다고 밝혔다.

KT는 기업 가입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도 강화한다고 밝혔다. 최근 급증 추세인 대규모 디도스 공격에 대비해 클린존의 방어 용량을 연내 2배 이상 증설하고, 가입자가 디도스 공격 탐지 정보 등을 볼 수 있는 모니터링 대시보드를 8월 내 선보인다. 연내 AI 신종 위협 패턴 학습 기반의 선제적 디도스 대응체계도 도입할 예정이다. ‘AI 메일보안’ 서비스는 오는 9월부터 AI(LLM)를 활용해 위협 리포트를 자동 요약 후 제공하는 기능도 추가한다. KT 고객부문장 이현석 부사장은 “지금 이 정도면 괜찮다는 안일한 생각으로는 더 이상 고객의 신뢰를 지킬 수 없다”며, “KT는 고객 신뢰를 최우선 가치로 삼고 기존의 대응 방식에서 벗어나 선제적 보안의 새로운 기준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