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 주도 우주산업에 박차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우주 기술 자립·상업용 발사체 시대 활짝
민간 이양 늘리고 기술 고도화 주력해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7일 새벽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이번 누리호 4차 발사에는 무게 516㎏ 주탑재위성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부탑재위성 12기 등 총 13기 위성이 실렸다. 연합뉴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7일 새벽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이번 누리호 4차 발사에는 무게 516㎏ 주탑재위성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부탑재위성 12기 등 총 13기 위성이 실렸다. 연합뉴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의 4차 발사가 민간 주도로 27일 성공했다. 이날 오전 1시 13분 발사된 누리호는 13기의 위성을 계획된 궤도에 안착시키며 모든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강력한 엔진으로 당초 계획된 총 비행시간인 21분 24초보다 3분 정도 단축한 18분 25초에 비행이 종료됐다. 누리호에 의해 고도 600㎞ 궤도에 올려진 차세대 중형위성 3호는 이날 오전 1시 55분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첫 교신을 했으며, 부탑재 위성 12기 중 일부도 잇따라 지상국과 교신을 완료했다. 우리나라는 이번 성공으로 독자적 우주 수송 능력을 입증함으로써 우주 기술 자립과 상업용 발사체 시대를 열게 됐다.

이번 발사에서 의미가 가장 큰 부분은 우주산업생태계가 국가·정부 기관 주도의 ‘올드 스페이스’에서 벗어나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로 진입했다는 점이다. 민간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 제작·조립을 총괄하면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는 발사 운영에 참여했다. 정부와 민간 기업, 국가연구소가 하나의 팀이 되어 수행한 최초의 민관 공동 발사다. 누리호 1~3차 발사까지는 총조립과 발사 운용 모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맡았다. 이번 4차 발사 성공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향후 5·6차 발사를 거쳐 민간 주도권을 실질적으로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주 개발에 민간 기업 역할이 갈수록 커질 것은 자명하다.

이번 발사는 국내 최초로 야간에 진행됐다. 차세대 중형위성 3호가 고도 600km의 태양동기궤도를 돌며 오로라를 관측하기 위해 태양 빛의 간섭이 없는 시간대에 적도를 통과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 위성은 우주 자기장 측정 임무를 수행하고, 무중력 상태에서 3D 프린터로 줄기세포를 키우고 생체 조직을 만드는 우주 바이오 연구 역할을 한다. 12기의 부탑재 위성들은 우주 쓰레기 폐기 기술 실험, 기상 관측에 나선다. 또 우주에서 신약 개발을 수행하는 첫 단계로 항암제 개발을 위한 단백질 실험을 한다. 이를 계기로 민간 참여를 활성화해 무궁무진한 우주 개발의 상업화와 산업생태계 조성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으로 우리가 7대 우주 강국으로 자리 잡았다고 하지만, 갈 길이 멀다. 미국·중국·러시아·일본 등 우주 선진국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발사체의 경제성 확보가 관건이다.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 수준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선 반복 발사로 기술 안정성을 입증해야 한다. 민간 주도 우주 시장은 2035년까지 1조 8000억 달러(약 2630조 원)로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의 글로벌 우주산업 점유율은 1% 정도다. 향후 발사에서 민간 이양 분야를 대폭 늘리고 발사체 기술을 더 고도화하는 것이 과제다. 정부와 민간이 전략적 투자와 협력·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산업적으로 특화할 수 있는 위성 개발 등 틈새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