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11주기 인식 조사… 국민 44% “재난 여전히 불안”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안전하지 않다” 44%… 대형 재난 불안 여전
재난 대응 체계 ‘개선됐다’ 44.5% 그쳐
국민 절반은 “세월호 같은 참사 다시 온다”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이틀 앞둔 지난 14일 전남 목포시 고하도 신항만에 거치된 세월호 선체 모습. 연합뉴스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이틀 앞둔 지난 14일 전남 목포시 고하도 신항만에 거치된 세월호 선체 모습. 연합뉴스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아 실시된 재난안전 인식 조사에서 우리 사회가 여전히 대형 재난에 취약하다는 국민들의 인식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4명 이상이 “대형 재난이 여전히 불안하다”고 답했다.

동아대학교 대학원 재난관리학과·동아대 긴급대응기술정책연구센터·한국리서치·씨지인사이드는 ‘세월호 11주기 재난안전 인식 조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형 사회 재난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44%로, “안전하다”(17.6%)는 응답의 약 2.5배에 달했다. 특히 “안전하다” 응답 비율은 2021년 43.1%에서 올해 17.6%로 25.5%P(포인트) 감소하며, 국민의 체감 안전 수준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하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재난안전의 책임 주체로 ‘중앙정부’(31.1%)와 ‘대통령’(26.4%)을 지목했다.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비율도 2021년 6.9%에서 올해 14.2%로 7.3%P 증가하며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국민 절반 이상(54.4%)은 향후 세월호와 같은 대형 참사가 “다시 발생할 것”이라 답했고, 10년 내에 발생할 것이라고 본 비율도 47.8%에 달했다.

반면 재난 대응 체계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세월호 참사 이후 “재난 대응 체계가 개선됐다”고 답한 비율은 44.5%에 그쳤다.

연구팀은 “세월호 참사 11년이 지났지만, 재난에 대한 국민의 불신은 여전한 상황”이라며 “국가 차원의 재난 대응 시스템에 대한 신뢰 회복은 물론, 급격히 높아지는 지자체 책임 인식을 고려한 분권형 재난 대응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