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신공항 공기 ‘끝장 토론’… 정부, 7년 약속 지켜야
4일 분야별 전문가들 토론회
재입찰 조건의 핵심 ‘공사기간’
각 공정 쟁점도 심도있는 분석
부산시 “기존 공기 유지돼야”
가덕신공항 건설사업을 다시 정상 궤도에 올리기 위해 정부가 입찰 조건의 핵심인 ‘공사 기간’을 두고 막바지 검토에 나선다. 국책사업의 약속대로 정부가 수립한 공사 기간을 지켜서 5개월째 제자리인 후속 절차를 조속히 재개해야 한다는 지역 여론이 높다.
2일 국토교통부와 부산시에 따르면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이하 공단)은 4일 부산 가덕도 공단에서 가덕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의 공사 기간과 관련한 토론회를 개최한다. 공단은 가덕신공항 건설사업의 시행자 지위를 갖고 있는 국토부 소관 기관이다.
비공개로 진행되는 토론회에는 시와 공단이 각각 추천한 토목, 건설 등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해 가덕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의 적정 공기를 주제로 구체적이고 심도 깊은 토론을 벌일 계획이다. 정부의 가덕신공항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참여한 설계사도 참여한다.
이번 행사는 정부가 가덕신공항 건설사업의 신속한 재추진을 수차례 공언한 상황에서 새로운 사업자를 찾기에 앞서 입찰 조건을 확정하기 위한 실무 차원의 막바지 단계로 해석된다.
앞서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지난 4월 말 정부가 입찰 조건에서 제시한 공기인 84개월(7년)을 어기고 2년 긴 108개월(9년)을 반영한 기본설계안을 내놓아 부지 조성 공사 수의계약 대상자에서 실격했다. 현대건설은 컨소시엄 이탈과 공사 불참도 선언했다.
지역에서는 정부가 약속한 84개월을 유지해 재발주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반면 건설업계는 현대건설 다음으로 지분이 많은 대우건설을 주관사로 새로운 컨소시엄 구성을 검토하는 한편으로 입찰 참여를 위해서는 공기 연장이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날 전문가들은 부산시의 84개월과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108개월을 양쪽에 두고 공단이 정부 기본계획과 현대건설 측의 기본설계안을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각자가 생각하는 ‘적정 공기’에 대해 기술적인 관점에서 ‘끝장 토론’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현대건설 측이 연약지반 안정화에 17개월, 방파제 건설과 매립 공사 순서 조정에 7개월 등 총 24개월이 더 필요하다고 내세운 만큼 해당 공정에 대한 검토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 관계자는 “시와 공단이 각각 추천한 전문가들이 공사 기간을 중심으로 각 공정의 기술적인 쟁점과 공법 등을 심도 있게 들여다보고 서로 의견을 교환해 간극을 좁혀보자는 취지”라며 “입찰 재개에 앞서 입찰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소통 절차”라고 말했다.
국토부 측은 이번 토론회는 가덕신공항 건설사업의 정상화를 위한 과정으로, 결론을 참고하되 다방면의 의견을 종합해 입찰 조건의 공기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윤덕 국토부 장관도 3일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 공사 관련 전문가들과 비공식 간담회를 갖는다.
부산시와 지역 사회는 국책사업과 국가계약에 대한 신뢰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공기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부가 공식 용역을 통해 도출하고 고시한 공기이고, 사업 지연의 쟁점은 현대건설의 전례 없는 국가계약 위반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84개월 공기를 지키되 착공 이후 불가피한 여건 변화에 대해서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부산시 입장은 분명하다”며 “더 이상 지체 없이 조속히 착공해 가덕신공항 적기 개항 약속을 지킬 수 있도록 정부가 빠른 결정을 내려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