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형 광역비자’ 외국인 49명 첫 입국
26일 입국 현대중·현대미포로
조선업체 현장서 용접 등 담당
내년 인니 등 4개국 391명 추가
26일 광역 비자 1호로 입국한 베트남 근로자들이 버스로 울산에 도착했다. 울산시 제공
울산 조선업계의 만성적인 인력난 해소를 위한 ‘울산형 광역 비자’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지자체가 추천한 외국 인력이 울산에 입국한 첫 사례다.
울산시는 지난 26일 ‘광역 비자’를 발급받은 베트남 근로자 49명이 김해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들어온 이들은 조선업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용접 전문 인력이다.
이날 입국한 근로자들은 HD현대중공업이 마련한 버스를 타고 울산으로 이동했다.
이들은 27일 울산경찰의 법규 준수 교육을 거쳐 다음 달 1일부터 HD현대중공업 협력업체에 배치돼 근무를 시작한다.
울산시는 앞서 올해 5월 법무부로부터 광역형 비자의 시범 사업 지자체로 선정됐다. 이 사업은 2026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베트남·태국·우즈베키스탄·인도네시아 4개국 인력을 대상으로 한다. 울산시가 검증한 인력에게 법무부가 기능인력 비자(E-7-3)를 발급하면 울산의 조선업 현장에서 2년간 근무하게 되는 구조다.
이를 위해 울산시는 지난 7월부터 HD현대중공업, 조선해양플랜트협회와 함께 베트남 현지에서 공개 모집을 진행했다.
울산시가 이처럼 외국인 인력 유치에 사활을 거는 이유는 조선업 수주는 급증했지만 현장에서 일할 사람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조선·해양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에 따르면 지난해 조선업의 미충원율은 14.7%에 달했다. 이는 전체 산업 평균(8.3%)의 두 배에 육박하는 수치다.
울산시는 광역형 비자 사업에 더욱 속도를 낼 방침이다. 이번 베트남 인력을 시작으로 당장 다음 달 태국(28명)과 우즈베키스탄(19명) 인력을 추가로 입국시키는 등 내년까지 시범 쿼터 440명을 순차적으로 채울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입국은 지역 주도형 외국인 인력 도입의 첫 성과”라며 “숙련된 기술 인력의 안정적 공급이 조선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외국인 인력 급증이 내국인 일자리와 임금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미 현장이 위치한 울산 동구에서는 주민들의 외국인 노동자 반대 움직임이 조직화되기 시작했다.
지난 24일 ‘동구 살리기 주민대회 조직위원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인력난 문제를 풀기 위해선 외국인 고용 확대가 아닌 숙련공 유지와 원·하청 구조의 합리적 개선 등 구조적 전환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승혁 기자 gsh0905@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