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항 일대·강서구·영도구 유력 후보, “집결돼야 진정한 해양수도 거듭”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북항, 해양 분야 시너지 기대
강서구, 교통 접근성 등 강점
영도구, 관련 기관 연관성 커

정부세종청사 내 해양수산부 청사 전경. 해수부 제공 정부세종청사 내 해양수산부 청사 전경. 해수부 제공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해수부 본청사를 포함한 해양수산 기관과 기업을 모두 부산 구·군 중 1곳에 집적화할 방침이라고 밝히면서 ‘해양 패키지’를 독점할 지자체 선정에 관심이 쏠린다. 부산 북항 일대와 영도구, 강서구 등이 유력한 후보지로 거론되는 가운데 집적화 부지 선정이 ‘경쟁 공모’로 이뤄질 시 지자체 간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 장관은 18일 〈부산일보〉에 “내년 1월 해수부 본청사를 포함한 해양수산 기관과 기업 등을 부산 16개 구·군 중 1곳에 집적화할 방침”이라며 “부지 선정 과정은 ‘경쟁 공모’가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집적화 방식으로 부지 선정이 진행되면 해수부 본청뿐 아니라 이재명 대통령 ‘해양 공약’에 포함된 동남권투자공사와 해사법원, 해수부 산하 해양수산 기관과 해운대기업까지 모두 부산 지자체 1곳에 모이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실화 될 시, 각 기관과 기업 설립뿐 아니라 일대의 지각 변동이 일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동남권투자공사와 해사법원 관련 업계 입주가 이뤄지고, 해양수산 기관과 기업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면서 최종 해양수산 집적지로 선정된 지자체가 ‘해양 도시’로 재도약할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대규모 기관과 기업 이전인 만큼 인력과 자원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부지가 관건으로 꼽힌다. 이중 북항 재개발 지역이 유력한 부지로 거론된다. 북항 1단계 재개발 지역 내 '복합항만지구'와 '공공포괄용지' 부지가 모두 공공기관 입주를 목적으로 개발됐고 소유권도 해수부로 넘어가게 된 상황이라, 행정적으로도 보다 수월하다는 분석이다.

해양 공공기관이 몰려 있는 영도구 동삼혁신지구 해양클러스터 등과 가까워 해양 분야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다. 특히 직원들의 잦은 서울과 세종 출장 수요를 감당할 수 있다는 점도 크다. 북항 지역은 부산 관문인 부산역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교통접근성도 주효하게 거론된다.

부산신항 소재지인 강서구 지역도 교통 접근성이나 부지 확보 차원에서 강점이 있다는 분석이다. 강서구에서는 임시 청사 조성 단계서부터 부산항 물동량 70% 이상을 처리하는 부산신항이 강서구에 있다는 점을 부각하며 해수부 유치를 촉구했다. 국내 해운항만 산업 생태계가 부산신항을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고 한국선급 본사 등 해양수산 관련 인프라가 집약해 있어 유력한 집적지로 거론된다.

또 다른 후보지로 해양 연구 기관 등 관련 시설이 입주해 있는 영도구 동삼혁신지구 해양클러스터가 거론된다. 이미 있는 관련 기관과의 연관성은 장점이지만 해양 클러스터를 구축할 만큼 넉넉한 부지 확보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구체적인 집적지 선정 방식과 기관·기업의 이전 방안 등은 내년 1월 전 장관의 ‘해양 패키지’ 실행 계획 발표에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 장관이 2030년까지 해수부 본청 이전을 완료하겠다는 방침인 만큼, 동남권투자공사와 해사법원 등 그 외 관련 기관과 기업의 이전도 2030년까지는 마무리될 것으로 무게가 실린다.

전 장관은 “단순 해수부 이전을 넘어 관련 기관과 기업이 집결돼야 부산이 진정한 해양수도로 거듭날 것”이라며 “‘집적화’를 원칙으로 삼고 내년 1월까지 기관, 기업별 구체적인 계획을 조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