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세계규격화 나선다…품질·표시 등 국제적 통일기준 마련키로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로마에서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총회 개최
가공과채류분과위원회 의장국으로 선출
김치 주원료에 ‘김치 캐비지’ 추가 등재돼

11월 10일부터 14일까지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제48차 국제식품규격위원회(코덱스) 총회 모습. 농식품부 제공 11월 10일부터 14일까지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제48차 국제식품규격위원회(코덱스) 총회 모습. 농식품부 제공

국제식품규격위원회(코덱스) 총회에서 김치의 주원료인 배추 명칭에 ‘김치 캐비지’가 추가로 등재됐다.

또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김에 대해 세계 규격화를 위한 신규작업에 들어가게 됐다.

농식품부와 해수부, 식약처, 한국식품연구원은 11월 10일부터 14일까지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제48차 국제식품규격위원회(코덱스) 총회에서 우리나라 전통 농수산식품의 국제적 입지를 확고히 하는 주요 성과를 달성했다고 17일 밝혔다.

코덱스는 식품의 국제 무역 촉진과 소비자 건강 보호를 위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식품 기준·규격을 개발하는 세계식량농업기구(FAO)·세계보건기구(WHO) 합동 위원회다.

이번 총회에서는 우리나라는 가공과채류분과위원회 의장국으로 선출됐을뿐만 아니라 김치의 세계규격에 우리 용어를 추가하고 김 제품 세계 규격화 신규작업 개시가 승인됐다.

과채류분과위원회는 과일·야채 등의 가공 제품 규격을 다루며, 우리나라와 관련된 주요 품목으로는 김치 고추장 인삼제품 곶감 등이 있다. 앞으로 김치 인삼제품 고추장 등 우리 식품의 세계 규격 운영을 주도할 수 있게 됐다.

또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소비되는 고구마 밤 감(홍시 포함) 제품 등의 국제기준 설정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한편 이번 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해 2001년 세계규격으로 제정된 김치의 주원료인 배추 명칭에 ‘김치 캐비지’를 추가로 등재했다.

현재는 차이니즈 캐비지만 있는데 앞으로는 김치 캐비지와 나파 캐비지가 추가로 등재되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가 김치 종주국으로서 과학 문헌, 교역 관행에서 ‘김치 캐비지’와 ‘나파 캐비지’ 사용이 늘고 있어 주도적으로 국제식품규격 수정 작업에 노력한 성과다.

이와 함께 기존에 아시아 지역규격으로만 등재돼 있던 ‘김 제품’에 대해 세계 규격화를 위한 신규 작업 개시가 승인됐다. 이는 우리나라가 김을 세계 규격으로 제정할 것을 강력하게 제안하고, 코덱스 회원국의 지지를 얻어낸 결과다.

이를 통해 전 세계적인 김 소비 증가 추세에 맞춰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고품질의 국제 표준을 마련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

김의 품질, 위생, 표시, 시험법 등에 대한 국제적인 통일 기준이 마련되면, 고부가가치 수산식품인 김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중요한 발판이 돼 세계 시장에서 한국산 김의 신뢰도와 경쟁력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가공과채류분과 전임 의장국인 미국 대표단 수석대표 캔 로워리는 “대한민국은 이미 항생제내성특별위원회 등을 훌륭히 이끌며 코덱스 분과위원회를 주최한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가공과채류분과 의장국 선출을 축하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