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료원 정상화 TF', TF부터 정상화 해야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올 4월 출범 후 회의 겨우 두 번
뚜렷한 대책도 없어 실효성 의문

부산의료원 전경 부산의료원 전경

부산시 산하 공공병원인 부산의료원의 경영난에 올해 출범한 민관 정상화 태스크포스(TF)의 회의가 딱 두 차례 열리는 데 그쳤다. 뚜렷한 대책 없이 해를 넘기게 되면서 TF의 실효성에 대한 지적도 제기된다.

17일 부산시와 부산의료원 등에 따르면 올해 출범한 부산의료원 정상화를 위한 민관 TF는 지난 4월 22일 첫 회의를 연 뒤 10월 21일 두 번째 회의를 열었다. 당초에는 주기적으로 만나 개선안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실제로는 6개월 간격으로 두 차례 진행되는 데 그쳤다. 이에 내년부터 당장 새롭게 적용할 만한 구체적인 개선안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TF는 부산의료원이 엔데믹 이후 수년째 경영난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부산시, 부산의료원 노사, 부산대병원, 시민사회 등이 함께 정상화 방안을 모색하자는 취지로 추진됐다. 시에 따르면 그동안 회의에서는 의료원 경영 개선 방향을 놓고 각 기관의 의견 교환이 주로 이뤄졌다. 지난달 2차 회의에서는 △수익 우수 진료과 육성 △필수의료과 인력 확충 △권역책임의료기관인 부산대병원과의 네트워크 강화가 주로 논의됐다.

그러나 논의된 대책이 원론적이거나 기존 자구책 수준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부산대병원 의사 파견 확대 방안은 TF 구성 초기부터 고려된 대안이지만 아직 진료 과목이나 유인책 등 구체적 계획이 확정되지 않았다. 필수의료 강화를 통한 수익화 모델 발굴, 우수 진료 과목 활성화와 같은 대책 또한 엔데믹 이후로 이어져 온 부산의료원 ‘자구책’의 연장선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반면 전국적으로는 지방 의료원의 경영 악화 문제를 두고, 적자를 스스로 메꿔야 하고 민간병원처럼 수익성을 중심에 둘 수밖에 없는 공공병원의 독립채산제 운영 구조를 손질해야 한다는 시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TF 3차 회의는 내년 1월께가 되어서야 열릴 전망이다. 사실상 TF 출범 첫해에 뚜렷한 성과 없이 해를 넘기게 되는 것이다. 부산의료원은 올해 출연금으로 역대 가장 많은 174억 원을 지원받았으나, 지난달 자금이 소진되면서 40억 원을 추가로 차입했다.

부산시 보건위생과 관계자는 “위원들이 모두 참석하는 대면 회의 일정 조율이 쉽지 않았다. 앞으로 실무 차원 회의를 정례화해,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의견을 교환할 계획이다”며 “회의를 거듭하면서 좋은 안이 나올 것 같고, 부산시도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