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디지털 학습환경 집중 지원… ‘맞춤 교육’에 5815억 편성 [2026년도 예산안 편성]
부산시교육청- 5조 5317억 원
AI시대 선도 교육 931억 투입
예술체험비 1인당 4만~6만 원
3~5세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안전한 학교 구축 3997억 배정
11일 오후 2시 부산시교육청 브리핑룸에서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이 2026년 부산시교육청 예산안을 발표하고 있다. 부산시교육청 제공
부산시교육청이 내년 예산을 올해보다 1966억 원 늘린 5조 5317억 원으로 편성했다. 특히 인공지능(AI)·디지털 기반 학습환경 조성과 학생 개별 맞춤 지원 등 분야에 지원이 집중됐다.
부산시교육청은 11일 5조 5317억 원 규모의 ‘2026년도 교육비특별회계 본예산안’을 부산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해당 예산안은 이달 말부터 부산시의회 교육위원회 예비심사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거쳐 다음 달 11일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된다.
내년 예산안 규모는 올해보다 1966억 원(3.7%) 늘었다. 세입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4조 332억 원(72.9%), 자치단체 전입금 9399억 원(17.0%), 기금전입금 940억 원(1.7%) 등으로 구성됐다. 예산안은 ‘다함께 미래로, 앞서가는 부산 교육’을 비전으로 △AI시대를 선도하는 인간 중심 미래 교육 △학력과 마음을 함께 키우는 맞춤교육 △교육활동을 지키는 안전한 부산 교육 △지혜로운 미래 인재로 성장하는 시민 교육 등 4개 중점 과제에 집중됐다.
먼저 ‘AI시대를 선도하는 인간 중심 미래 교육’에는 총 931억 원이 투입된다. 학생예술체험비를 1인당 4만~6만 원 지원하는 등 독서·문화·예술 교육에 333억 원, 체육활동 지원에 200억 원을 배정해 학생의 균형 있는 성장을 뒷받침한다. 또한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수업 혁신에 236억 원, 디지털미디어 교육과 AI 역량 강화, 디지털 교육 기반 구축에 162억 원을 배정했다. 시교육청은 교육정보화기금 515억 원을 별도로 투입해 교원 노후 PC 6800여 대 교체와 학생용 스마트기기 2만 4000여 대도 보급하기로 했다.
‘학력과 마음을 함께 키우는 맞춤 교육’에는 총 5815억 원이 편성됐다. 중학교에 학교당 약 2000만 원씩 총 36억 원을 지원해 자기주도학습 기반을 마련하고, 전 학년 맞춤 학습 지원에 220억 원을 투입한다. 특히 3~5세 사립유치원 무상교육을 앞당겨 시행하고 어린이집에는 1인당 1만 원씩 추가 보육료를 지원하기 위해 453억 원을 편성했다. 학생 맞춤 통합지원, 정서 돌봄, 교육복지 등에는 4652억 원, 특수교육과 다문화 학생 지원에는 286억 원, 진로·직업 교육에는 168억 원을 반영했다.
‘교육활동을 지키는 안전한 부산 교육’에 총 3997억 원을 배정해 안전한 학교 환경 구축에도 힘을 싣는다. 구체적으로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법률지원과 AI 비서(펜GPT) 도입 등으로 교권 보호와 행정 부담 완화를 추진한다. 학생안전체험버스 운영, 체험학습 안전요원 배치 등 안전교육과 안심 환경 조성에는 443억 원, 노후 학교 시설 개선에는 3384억 원을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지혜로운 미래 인재로 성장하는 시민 교육에는 총 147억 원이 들어간다. 역사·통일 교육과 부산역사관 운영에 32억 원, 해양 교육에 49억 원, 지속가능한 생태 전환 교육에 66억 원이 편성됐다. 이 외에도 시교육청은 학교운영비도 물가 상승을 고려해 올해 대비 8.27% 인상하고, 경직성 교육사업을 통합사업으로 전환해 총 326억 원 증액 편성했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2026년도 예산안은 AI와 디지털 시대를 대비해 학생 개개인을 위한 맞춤형 학력 향상과 정서 지원을 강화하고 안전한 교육 환경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학생과 교직원이 함께 성장하는 교육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