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A, 선박 자율운항 AI 개발 박차
부산항만공사 건물 전경
부산항만공사(BPA)가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에 나섰다.
BPA는 장애물을 탐지해 회피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시스템 개발 연구과제에 착수한다고 5일 밝혔다.
한국과 캐나다 국제공동연구 방식으로 진행하는 이번 과제에는 국내 자율운항선박 솔루션 전문업체 케닛(주), (재)부산테크노파크, 전남대산학협력단, 캐나다 해양 감시·영상장비 전문업체 커런트 사이언티픽 코퍼레이션이 참여한다.
앞으로 3년간 진행되는 이번 연구 과제의 목표는 기존 시스템이 가진 야간·악천후 상황 탐지 성능 저하 문제 해결과 단순 경고에서 나아가 장애물 탐지·회피와 경로 재설정 등에 AI를 활용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 선박의 운항 보조 시스템은 레이더와 선박정보자동송수신장치(AIS), 전자해도표시정보시스템(ECDIS) 등 정형화된 장비로, 그마저 소형 선박에는 탑재되지 않은 경우가 많고, 해무나 우천, 야간 등의 환경에서는 인식률이 떨어지고 탐지 오차가 생겨 충돌 위험이 증가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BPA 송상근 사장은 “이번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부산항이 항만에서의 자율운항선박 트렌드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이호진 기자 jiny@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