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금리 0.25%P 인하…파월, 복잡한 심경 내비쳐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후 발표
파월 “고용 하방위험 증가해 금리인하 결정”
“어떤 일에도 우리가 할 일 계속할 것” 강조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파월 의장. 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파월 의장. 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렸다. 시장의 예상대로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하게 요구했던 ‘빅컷’(한번에 0.50% 포인트 내리는 것)은 없었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2.50%다.

연준은 17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미국의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금리는 4.25∼4.50%에서 4.00∼4.25%로 내려갔다.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한 이후 5회 연속 동결하다 9개월 만에 내린 것이다.

연준은 “최근 지표들은 일자리 증가는 둔화했고, 실업률은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인플레이션은 상승했으며, 다소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연준은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태”라며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증가했다고 판단해 금리 인하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연준의 결정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스티븐 마이런 신임 연준 이사도 투표권을 행사했으며, 그는 0.50% 포인트 인하에 투표했다. 나머지 FOMC 위원은 0.25% 포인트 인하에 투표했다.

연준은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의 중간값을 3.6%로 제시했다.

이를 감안하면 연내 0.25% 포인트씩 두 차례 더 금리 인하가 단행될 전망이다. 올해 FOMC 회의는 10월 28∼29일과 12월 9∼10일 두 차례 남았다.

파월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의 물가 영향에 대해 “상품 가격 상승이 올해 인플레이션 상승의 대부분을 설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관세가 상품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현상은 현재까지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주로 중간 공급망에서 관세 비용이 흡수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과 측근인 스티븐 마이런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의 연준 이사 임명, 리사 쿡 연준 이사 해임 시도 등에 대해선 파월은 “우리는 어떤 것에도 주의를 흐트러뜨리지 않은 채 우리가 할 일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