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FF 2025] 영화인·시민 모두 즐길 ‘영화의 시간’ 부산 전역이 ‘축제 무대’

남유정 기자 honeybe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30주년 맞아 더 풍성한 영화제
첫 경쟁 부문 도입 등 새 시도
‘아시아영화 100’ 특별전 눈길
커뮤니티비프 리퀘스트시네마
역대 상영작 중 13편 선정 소개
동네방네비프 15곳서 펼쳐져
한예종 출신 감독들이 참여한
‘프로젝트 30’ 세계 최초 상영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을 하루 앞둔 16일 오후 개막식이 열리는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앞에서 시민들이 경쟁 부문 출품작 포스터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을 하루 앞둔 16일 오후 개막식이 열리는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앞에서 시민들이 경쟁 부문 출품작 포스터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17일 영화의 바다로 출항한다. 오는 26일까지 열흘간 해운대 영화의전당과 남포동 일대를 비롯한 부산 전역은 축제의 무대로 변한다. 올해는 영화제 30주년을 맞아 첫 경쟁 부문 도입과 아시아영화 100 특별 기획, 다채로운 게스트 초청으로 더욱 풍성한 축제를 예고한다.

■BIFF에서만 만나는 특별한 영화

올해 주목할 만한 특별전은 ‘아시아영화 100’이다. 특별전은 ‘아시아영화의 결정적 순간들’을 주제로 지난 30년간 아시아 영화사를 빛낸 작품들을 상영한다. 자파르 파나히의 ‘이것은 영화가 아니다’, 지아장커의 ‘스틸 라이프’, 차이밍량의 ‘안녕, 용문객잔’, 두기봉의 ‘흑사회’, 왕빙의 ‘철서구’가 초청됐다. 일본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은 ‘드라이브 마이 카’로, 한국에서는 이창동의 ‘버닝’, 박찬욱의 ‘올드보이’가 함께한다. 상영 후 감독과 배우가 직접 관객과 만나 창작 과정과 작품의 의미를 공유한다.

올해 처음으로 경쟁 부문 ‘부산 어워드’를 신설한 점도 눈에 띈다. 장률의 ‘루오무의 황혼’, 비간의 ‘광야시대’, 미야케 쇼의 ‘여행과 나날’ 등 14편이 후보에 올랐다. 이 가운데 10편은 월드 프리미어로 볼 수 있다. 수상작은 폐막식에서 발표된다. 대상 수상작은 폐막작으로 상영된다.

■관객과 함께 만드는 영화제

BIFF의 대표적 관객 참여 프로그램인 ‘커뮤니티비프’는 18일부터 21일까지 남포동 일대와 영화의전당 등에서 열린다. 올해는 관객이 직접 프로그래머가 되는 ‘리퀘스트시네마’를 통해 투표를 거쳐 역대 상영작 중 13편이 선정됐다. ‘릴리 슈슈의 모든 것’ ‘무뢰한’ ‘바닷마을 다이어리’ ‘호수의 이방인’ 등이 다시 스크린에 오른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30주년을 기념한 특별전도 마련된다. 한예종 출신 감독들이 참여한 옴니버스 영화 ‘프로젝트 30’이 세계 최초로 상영된다. 대표작들을 통해 지난 30년의 성과를 돌아본다. ‘커비컬렉션’은 올해 책을 주제로 열려 정서경, 이석원, 박상영, 김신록, 박찬일 작가가 참여한다. ‘올데이시네마’는 지역·사회, 성평등, 과학을 주제로 하루 종일 영화를 탐구하며, 정성일 감독과 성해나 작가의 ‘블라인드시네마’, 장재현 감독과 박정민 배우가 함께하는 ‘마스터톡’, 심야상영 ‘취생몽사’도 준비됐다.

■부산 전역이 영화관으로 변신

‘동네방네비프’는 18일부터 25일까지 부산 전역에서 열린다. 올해 키워드는 ‘바람길’(Wind Path)이다. 부산 전역이 영화관으로 변신하며 일상 속에서 영화를 만날 수 있도록 꾸려졌다.

상영과 행사가 열리는 곳은 △김해국제공항 국제선 면세구역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렛츠런파크 부산경남 △기장군 고리스포츠문화센터 △남구 BNK부산은행 오션홀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동구 168 더 데크 △부산진구 전포역 스페이스 별일 △사하구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수영구 민락수변공원 △영도구 태종대 자동차극장 △영도구 모모스커피 △중구 남포동 비프광장 △양산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새싹홀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등 15곳이다.

이우혁 원작을 애니메이션으로 재탄생시킨 ‘퇴마록’, 배우 정우가 주연과 공동연출을 맡은 ‘짱구’, 올해 흥행작 ‘좀비딸’, 성우 이용신의 공연과 함께하는 ‘사랑의 하츄핑’ ‘탑건: 매버릭’ 등이 상영된다. 공연, 관객과의 대화(GV), 토크 프로그램도 각 장소별로 이어지며 영화제의 저변을 넓힌다.

한편 BIFF 성공을 기원하는 전야제는 16일 오후 7시 남포동 비프광장에서 열렸다. 배우 이종혁과 박규리가 사회를 맡았고, 윤제균 감독과 배우 정우가 ‘부산이 사랑하는 영화인’으로 선정돼 무대에 올랐다. 중구가 추진하는 ‘영화감독 부산 중구 한 달 살기’에 참여한 8명의 감독에게 기념패가 전달됐다. 가수 바다의 축하 공연도 열려 영화제의 뜨거운 열기를 미리 끌어 올렸다.


남유정 기자 honeybe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