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0주년 BIFF 새 도전, 세계적 영화제 도약 디딤돌 되길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련 딛고 경쟁부문 첫 도입 비상 시도
'부산 어워드' 위상 확고히 구축 큰 과제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을 하루 앞둔 16일 오후 개막식이 열리는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앞에서 시민들이 경쟁부문 출품작 포스터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올해 영화제는 경쟁부문을 신설, 아시아 주요 작품 14편을 초청해 대상, 감독상, 심사위원 특별상, 배우상, 예술공헌상 등 5개 부분의 부산 어워드를 시상한다. 정종회 기자 jjh@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을 하루 앞둔 16일 오후 개막식이 열리는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앞에서 시민들이 경쟁부문 출품작 포스터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올해 영화제는 경쟁부문을 신설, 아시아 주요 작품 14편을 초청해 대상, 감독상, 심사위원 특별상, 배우상, 예술공헌상 등 5개 부분의 부산 어워드를 시상한다. 정종회 기자 jjh@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오늘 개막한다. 17일 오후 6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오는 26일 폐막식까지 열흘간 부산은 ‘영화의 바다’로 변신한다. 올해 BIFF는 그 어느 때보다 특별하다. 아시아 최대 규모, 최고 권위의 영화제로 성장한 BIFF는 30주년을 맞아 세계적 영화제로의 비상을 시도한다. 아시아 영화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부문을 처음 도입하는 등 다양한 실험과 혁신적인 시도를 이어간다. 1996년 한국 최초의 국제영화제로 출범한 BIFF는 이제 아시아 영화의 요람을 넘어 영화산업의 허브로 성장했다. 우여곡절도 많은 30년이었다. 시련을 딛고 일어선 서른 살 BIFF의 힘찬 도전이 세계 영화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새기길 기대한다.

올해 BIFF는 64개국 241편의 영화를 공식 상영한다. 커뮤니티비프 상영작까지 포함하면 328편에 달한다. 30주년 특별기획으로 아시아 영화사를 빛낸 작품들을 소개하는 ‘아시아영화 100’도 첫선을 보인다. 대표적 관객 참여 프로그램인 커뮤니티비프, 부산 전역을 영화관으로 변신시키는 동네방네비프 등이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등 15곳에서 열려 열기를 더할 예정이다. 특히 BIFF는 부분경쟁영화제라는 기존 틀에서 벗어나 아시아 감독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경쟁영화제로의 변신을 꾀한다. 이 실험을 통해 BIFF가 아시아 영화제 ‘맏형’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세계적 영화제로 업그레이드할 디딤돌을 확실히 구축하길 바란다.

BIFF는 지난 30년간 수많은 신예 감독들의 등용문 역할을 해왔다. 1997년 BIFF에서 ‘초록물고기’를 선보인 이창동 감독은 이후 ‘밀양’ ‘버닝’으로 칸 경쟁부문에 진출하며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봉준호, 류승완 감독도 BIFF와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중국 자이장커 감독과 일본의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등 BIFF를 통해 세계적 명성을 확립한 거장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2014년 세월호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다이빙벨’ 상영을 둘러싼 갈등에 이은 2023년 당시 이용관 이사장 등의 인사 전횡과 사유화 논란 등은 BIFF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서른 살 BIFF 새 지도부는 그간의 내홍을 교훈 삼아 새로운 30년을 제대로 준비해야 할 것이다.

서른 살 BIFF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우선 세계적 영화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올해 첫 시도하는 경쟁영화제에 대한 위상을 확고히 구축해야 한다. 공정한 심사 등 원활한 운영을 통해 ‘부산 어워드’에 대한 권위를 제대로 구축해야 칸·베를린·베니스처럼 세계적 영화제로 발돋움할 수 있다. 대부분의 예산을 부산시 보조금과 기업 협찬 등에 의존하는 BIFF 재정을 한층 안정적으로 구축하는 것도 큰 과제다. 산업적 동반자인 아시아콘텐츠&필름마켓을 단순한 영화 거래시장을 넘어선 첨단 콘텐츠 마켓으로 자리매김시키는 것도 시급하다. 미래 30년을 위해 혁신과 실험을 기치로 내건 서른 살 BIFF의 힘찬 도약을 응원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