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과학 기술계가 자발적으로 연대 시작”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
제1회 부산과학기술인 정책포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산울산지역연합회 등 참석
글로벌 해양 허브 도시 자유 토론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BISTEP·원장 김영부)이 11일 부산 아스티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글로벌 해양 허브 도시 도약을 위한 부산 과학기술인 콜로키움’을 주제로 제1회 부산과학기술인 정책포럼을 열었다.
이번 포럼은 지역 과학 기술인의 정책 참여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첫 시도로, 단순한 학술 담론을 넘어 정책 제언과 실행 기반을 함께 마련하는 성과 중심의 정책 플랫폼을 지향했다. 이를 통해 부산 과학 기술계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지역 주도형 발전 전략을 구체화하는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산·울산지역연합회, 부산과학기술인협의회,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부산·울산·경남지부, 바른과학기술사회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동남권본부 등 과학기술 관련 단체 관계자와 전문가 50여 명이 참석해 산·학·연·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주제 발표 세션에서는 극지연구소 신형철 소장이 ‘북극항로 개척’이라는 국가 전략과 이를 뒷받침할 부산의 해양 전략 방향을 공유했다. 이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김세원 항만정책·운영연구실장이 부산 해양 과학 기술의 발전 과정과 향후 비전을 제시했으며, BISTEP 채준원 사업기획본부장은 지역 주도형 해양 분야 R&D 기획·유치 체계와 실행 전략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이어진 콜로키움에서는 ‘글로벌 해양 허브 도시, 부산의 미래를 묻다’를 주제로 자유 토론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해양수산부 이전에 따른 지역의 전략적 대응 △부산의 해양·수산 산업 중심지로서의 위상 제고 △과학 기술계의 실질적 기여 방안 등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다.
참석자들은 특히 부산이 해양 신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려면 지역 과학기술 역량을 결집하는 정책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수라고 입을 모았다.
또 북극항로 개척과 해수부 이전 등 글로벌 해양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번 포럼에서 나온 전략을 실현할 수 있는 정책과 사업으로 신속히 연결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김영부 BISTEP 원장은 “이번 정책포럼은 공동의 문제 의식을 기반으로 지역 과학 기술계가 자발적으로 연대를 시작한 매우 의미 있는 자리”이라며 “앞으로도 포럼을 정례화해 창의적인 정책 아이디어가 실제 R&D 사업으로 이어지도록 든든한 교두보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BISTEP은 향후 다양한 과학기술 정책 이슈를 다루는 정례 포럼을 통해 부산이 세계적 해양 허브 도시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 정책과 연구개발(R&D)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강성할 미디어사업국 기자 shga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