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록스 주가 30% 급락…소비자 취향 변화 영향?

김은지 부산닷컴 기자 sksdmswl807@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미국의 신발 브랜드 크록스가 3분기 실망스러운 매출 전망치를 제시하면서 주가가 약 30% 급락했다.

크록스는 이날 2분기 실적 발표에서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11%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11억 달러(약 1조 5200억 원)로 시장 전망치에 부합했다.

시장의 예상을 크게 벗어나는 실적 전망에 크록스 주가는 이날 종가 기준 29.2% 하락해 약 3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낙폭은 2011년 10월 이후 가장 컸다.

크록스의 실적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으로 소비자 취향 변화가 한 몫을 했다. 앤드루 리스 크록스 최고경영자(CEO)는 "운동화 수요가 다시 늘고 있다"면서 2026년 북중미 월드컵과 2028년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이 나이키·아디다스 같은 스포츠 브랜드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소비 심리 위축 여파도 반영됐다.

수전 힐리 크록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올해 하반기 관세로 인해 약 4000만 달러(약 550억 원)의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현재 조달 지역을 기준으로 그 영향이 연간 약 9000만 달러(약 125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봤다.

리스 CEO는 "이들은 구매하지 않고, 매장에도 가지 않는다. 방문객 수가 줄고 있다"며 특히 저소득층 소비자에게 더 인기 있는 크록스의 도매·아울렛 부문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를 두고 FT는 "높은 금리, 상품 가격 상승,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감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 둔화하는 노동시장 등이 미국 소비자 지출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은지 부산닷컴 기자 sksdmswl807@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