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포항 ‘1호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따냈다…부산은 ‘고배’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해수부, 첫 공모결과 9곳 중 2곳 선정
하반기 공모로 대상지 1곳 추가 예정
국비·지방비·민자 등 총 1조 원 투자
지역 매력·해양레저관광 기능 집적
일자리 창출 등 연안지역 발전 도모

박완수 경남지사(왼쪽)와 천영기 통영시장이 3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선정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완수 경남지사(왼쪽)와 천영기 통영시장이 3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선정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남 통영시와 경북 포항시가 ‘한국형 칸쿤’으로 불리는 해양수산부 주관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사업’을 따냈다. 부산은 이번 공모에서 고배를 마셨다.

해수부는 지역 해양관광 활성화를 선도할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사업’ 공모 결과, 첫 번째 대상 지역으로 경남 통영시와 경북 포항시 2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지난 29일 발표했다.

앞서 지난 4월 말 마감된 공모에는 바다를 끼고 있는 11개 광역 지자체 가운데 울산과 제주를 제외한 부산, 경남(통영), 인천, 경기(시흥), 경북(포항), 전남(여수), 전북(고창), 충남(보령), 강원(양양) 등 9곳이 최종 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사업은 민간투자와 재정지원을 연계해 해양자원과 문화적 매력을 높여 놀거리(레저), 볼거리(관광), 쉴거리(휴양) 등 해양레저관광 기능이 집적된 대규모 해양관광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경남도에 따르면, 통영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사업에는 국비 1000억 원, 지방비 1000억 원 ,민자 9400억 원 등 총 1조 1400억 원이 투입된다. 경남도는 해양숙박권역(도산면), 해양레저권역(도남동 도남관광지)으로 나눠 이 사업을 추진한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도산면 수월리 바닷가에 8000억 원을 투자해 2037년까지 1070실 규모 리조트를 단계적으로 건설한다. 여기에 경남도와 통영시가 해양복합터미널, 통영시 570개 섬을 디지털 기술로 보여주는 ‘디 아일랜드 570’ 전시관, 통영시 출신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 음악을 주제로 한 미디어아트 수상공연장 등 교통·문화시설을 조성한다.


포항 영일대. 경북도 제공 포항 영일대. 경북도 제공

또 경북도와 포항시에 따르면 포항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사업은 영일만관광특구 일원을 중심으로 국비 1000억 원, 지방비 1000억 원, 민자 1조 1523억 원 등 총 1조 3523억 원이 투입된다. 2034년까지 단계적으로 체류형 해양관광도시를 조성하는게 목표다.

해수부는 지역 특색과 매력이 반영된 해양관광도시 조성을 위해 이번 공모를 통해 선정된 지자체와 긴밀히 협의해 해양레저관광 인프라 확충, 민간 투자계획 등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올해 추가경정 예산(추경)에 관련 사업비가 반영된 만큼 올 하반기에 공모를 거쳐 추가로 1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다만, 예산당국이 대규모 국비 반영 사업에 난색을 보이고 있어 내년에도 사업이 지속될 지는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사업이 단순한 해양관광 인프라 투자를 넘어 연안지역 경제 활성화의 마중물이 되길 기대한다”며 “정부는 지역과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열린 협력 체계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해양관광도시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