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노인과 물놀이 떠난다면 주의 또 주의를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응급실 손상 환자 심층조사 결과
9세 이하·70세 이상 비중 늘어
6·9월 오전 6시~정오 사고 증가

지난 5년간 물에 빠지는 사고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의 절반 이상은 9세 이하 어린이나 70세 이상 노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질병관리청의 참여 병원 23곳의 자료를 토대로 한 ‘응급실 손상 환자 심층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2024년 자살·자해 등을 제외한 익수 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523명이었다. 연령별로는 9세 이하 어린이가 155명(29.6%)으로 가장 많았고 70세 이상 143명(27.3%), 60대 69명(13.2%) 등의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385명(73.6%)으로, 여성(138명·26.4%)의 2.8배 수준에 달했다.

익수 사고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중 숨진 사람은 150명(28.7%)이었으며, 70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응급실을 찾은 환자의 절반 이상(51.7%·74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확인됐다. 9세 이하 어린이는 응급실 내원 환자 중 7.1%에 해당하는 11명이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익수 사고는 토요일과 일요일, 금요일에 특히 많이 발생했으며 사고가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12∼18시, 18∼24시 등의 순이었다.

2015∼2019년에는 익수 사고의 37.1%가 7∼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반면 최근 5년 동안에는 7∼8월 비중이 26.2%로 줄어든 대신 6월과 9월의 비중이 14.1%에서 18.0%로 늘어났다. 오전 6시∼정오에 발생한 사고 비율도 같은 기간 14.3%에서 20.1%로 증가했다.

익수 사고 대부분은 여가 활동·일상생활 중에 발생했으며, 발생 장소는 바다·강 등 야외가 절반 가까이(46.1%)였다. 목욕탕·워터파크 등 다중이용시설(30.2%), 수영장 등 운동시설(8.8%) 등이 뒤를 이었다.

질병청은 더위가 길어지면서 익수 사고 발생 시기·시간 범위도 확대된 것으로 분석했다. 과거보다 주의해야 하는 기간이 더 길어지고, 이전보다 오전시간에 세밀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질병청의 설명이다.

한편 질병청은 매년 7월 25일 UN 총회에서 정한 ‘세계 익사 예방의 날’에 맞춰 올해는 ‘익사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지만, 누구에게도 일어나선 안 된다’라는 주제로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