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령 540이지만"…환경미화원 11년차 급여명세서에 두 번 놀라는 이유
환경미화원 또는 환경공무관(환경관리원)의 실제 급여명세서가 공개돼 눈길을 끌었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환경미화원 11년 차 급여명세서'에 따르면 세금과 4대 보험 등을 공제한 실수령액이 540만 원 수준이다.
공개된 급여명세서는 올해 6월 기준으로, 환경미화원 A 씨가 한 달 동안 받은 총급여는 652만 9930원이었다. 세부 항목을 보면 기본급 250만 7970원, 가족수당 16만 원, 기말수당 130만 3980원, 운전수당 30만 원, 공해수당 10만 원 등이 포함돼 있다.
여기에 야근과 휴일 근무 등으로 발생한 수당이 더해졌다. A 씨는 휴일 근무 2일, 야근 92시간, 시간 외 근무 19시간을 수행해 총 212만 5980원의 추가 수당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누리꾼들은 급여뿐만 아니라 추가 근무 시간에 주목했다. 한 누리꾼은 "급여만 보면 높은 것 같았는데, 야근 92시간 보고 충격받았다"고 했다.
육체적 부담과 위험 요소가 큰 직업이지만 정년과 높은 급여가 보장되면서 지자체가 직접 고용하는 환경미화원이 되기 위한 경쟁률은 치열하다. 지난 5월 충남 금산군이 실시한 환경미화원 공개 채용에는 단 1명 모집에 23명이 지원, 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당시 20대부터 40대까지의 연령층이 응시했으며 30대가 52%로 가장 많았으며 20대는 7명 30%로 20~30대가 전체 응시자의 82%를 차지했다. 대졸 이상 응시자는 71명으로 41%에 달했다.
선발과정도 간단하지 않다. 환경공무관이 되기 위해서는 1차 서류전형을 통과한 후 모래주머니(양쪽 각 10kg)를 들고 50m 달리기, 악력 측정, 윗몸 일으키기 등 3종목 체력검정을 통과해야 한다. 또한 3차 면접시험에서는 인성과 직무수행능력 등을 평가해 최종 채용 여부가 확정된다.
서울시와 경북 상주시가 환경미화원의 사명감과 자부심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17년에 각각 ‘환경공무관’과 ‘환경공무직’으로 명칭을 바꾼 이후 부산의 지자체 등도 이에 동참했다. 사하구청·해우대구청은 환경공무직, 남구청·금정구청·강서구청 등은 환경관리원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박정미 부산닷컴기자 like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