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장 배출 유력 정당은? 민주 42.2% vs 국힘 41% [내년 지방선거 여론조사]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장 선거 전망과 정당 지지도

여야 두 정당 격차 1.2%P 불과
조국혁신·개혁신당 2%대 그쳐
중도, 민주 당선 가능성 높게 봐
더불어민주당 40%·국민의힘 38%
정당 지지도 ‘유사’ 경향성 확인

그래픽=류지혜 기자 birdy@ 그래픽=류지혜 기자 birdy@

부산 시민들은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9개월여 앞둔 현재, 내년 6월 3일 부산시장을 배출할 가능성이 높은 정당으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을 꼽았다. 특히 두 정당의 부산시장 배출 가능성을 각각 42.2%, 41.0%로 답하면서 승패 예상이 팽팽하게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현재 부산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 정당 지지율이 오차범위 내에서 박빙인 상황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풀이되면서 향후 정국 주도권을 어느 정당이 잡느냐에 따라 전망은 요동칠 것으로 관측된다.

창간 79주년을 맞은 〈부산일보〉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를 통해 지난 7~8일 ‘내년 지방선거에서 어느 정당의 후보가 부산시장으로 당선될 것이라 전망하느냐’고 질문한 결과, 민주당과 국민의힘을 선택한 응답의 격차는 불과 1.2%포인트(P)였다. 그간 부산이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분류돼 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결과로 풀이된다. 이 밖에 조국혁신당(2.5%), 개혁신당(2.1%), 진보당(1.5%) 등은 1~2%대에 그쳐 유의미한 성과를 얻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거대 양당의 격차는 물론, 군소정당 후보 당선 가능성보다 높은 9.0%로 집계되면서 지방선거가 다가올수록 예측 불허 양상을 보일 전망이다.

이념 성향 별로는 예상대로 진보는 민주당, 보수는 국민의힘의 당선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진보 응답자 중 민주당 후보가 부산시장에 당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76.6%였으며 보수에서는 77.4% 국민의힘 후보 승리를 예상했다.

최근 한국 정치가 양극화되면서 당락을 가를 핵심층으로 꼽히는 중도에서는 국민의힘보다는 민주당의 당선 가능성을 높게 봤다. 자신의 이념 성향을 중도라고 밝힌 응답자 중 절반에 가까운 48.9%가 민주당 후보의 시정 입성을 예측했으며 33.6%는 국민의힘 후보의 승리를 전망했다.

정당 지지도에서도 내년 부산시장 선거 전망과 유사한 경향성이 확인된다. 이번 조사에서 민주당은 40.0% 국민의힘은 38.0%로 양당 격차는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3.1%P) 내에 머무르고 있었다. 또한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12.1%)와 ‘잘 모르겠다’(0.8%)고 답한 무당층이 12.9%에 달했다. 이재명 정부 허니문 기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과 부산에서는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전체는 물론 광역, 기초의원도 절대 다수가 국민의힘이라는 두 가지 상황을 감안하면 무당층의 비율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주목되는 대목은 유일하게 2권역(동래·남·연제·수영구)에서만 국민의힘 지지율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2권역에서 국민의힘은 42.4%, 민주당은 37.0%를 기록한 반면 1권역(북·사하·강서·사상구)과 3권역(해운대·금정구·기장군), 여기다 전통적으로 국민의힘이 압도적 승리를 거둬온 원도심이 포함된 지역인 4권역(중·서·동·부산진·영도구)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 지지율을 앞지르고 있었다.

이와 별개로 이번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관심이 쏠리는 부분은 지난해 총선에서 부산 지역 비례 득표율 22.57%를 기록하며 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20.84%)을 제쳤던 조국혁신당의 추락이다. 혁신당은 4.1%의 지지율을 기록한 개혁신당에도 밀리며 1.9%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거머쥐었다. 최근 혁신당 부산시당이 당에서 발생한 성 비위 사건과 관련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낸 것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본 조사는 <부산일보> 의뢰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서 지난 7~8일 부산 지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사용된 피조사자 선정 방법은 통신사에서 제공받은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해 무선 자동응답(ARS) 조사로 진행했다. 가중값 산출과 적용 방법은 올해 8월 말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셀가중을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응답률은 5.4%로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