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火들짝’ 다시 돌아온 ‘산불의 계절’…바짝 긴장한 지자체
다시 돌아온 ‘산불의 계절’에
하동·산청군 등 바짝 긴장
예년보다 일찍 감시 태세 돌입
클립아트코리아
건조한 날씨에 강풍까지 이어지면서 올해 초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던 지자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26일 경남 하동군에 따르면 올해는 예년보다 한 달 빠르게 산불 감시 태세에 들어갔다. 작년까지만 해도 11월 중순께 산불 대응에 들어갔는데, 올해는 10월부터 일찌감치 진화 헬기를 계류시켰다. 동시에 감시원과 진화대도 소규모 편성해 혹시 모를 산불에 대비했다.
이어 11월 초에는 산불감시원 104명과 산불 전문 진화대 39명을 구성해 본격적인 산불 대응에 돌입했다. 진화 차량 5대와 지휘 차량도 추가 구입해 배치했다.
인근 산청군도 마찬가지로 총력전에 나섰다. 하동군과 비슷한 시기에 산불 진화대가 구성돼 24시간 활동에 들어간 것이다. 특히 감시가 어려운 사각지대에 감시 카메라 15대를 추가 설치되는 등 총 25대의 카메라를 운용 중이다.
이들 지자체가 총력 대응에 나선 건 올해 초 발생한 산불 피해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다. 지난 3월 지리산을 중심으로 역대급 산불이 발생해 하동군과 산청군에서는 3398ha의 산림이 소실됐다. 사망자 4명을 포함해 14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했다. 또한 주택 39채, 시설 26개소 등이 불에 타 290억 원 상당의 재산 피해가 뒤따랐다.
하동군 관계자는 “지난해와 비교해 감시원과 진화대 수가 늘어난 건 아니지만 산불 진화차량과 감시 카메라를 확충했고 열화상 드론까지 활용하고 있다. 올해는 특히 불법 소각 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세워 집중단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불 피해가 비교적 적었던 지자체나 산림청 등 관계 기관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건조한 날씨로 산불 위험이 점점 커지면서 대응 방안을 점검하고 있다. 이달 들어 강원도 양양군을 비롯해 전국 곳곳에서 크고 작은 산불이 발생해 위기감이 더 고조됐다.
행정안전부와 산림청은 관계 기관 합동 대응 체계를 가동하고 산불방지대책본부 가동에 들어갔다. 올해는 가용자원 총동원을 통한 신속한 초동 진화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산불 발생 시 군 헬기 등을 즉시 투입하고, 산불 조심기간에도 총 143대의 군 헬기를 투입하기로 했다.
다만, 일선 현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올해 초 피해가 아직 복구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대규모 인력을 확충하기엔 예산 압박이 심한 탓이다. 여기에 군 단위 지자체는 인구 자체가 적다 보니 젊고 경험 있는 산불진화대를 구축하기 불가능한 실정이다.
산청군 관계자는 “당장 진화대를 늘리기는 어려워 대응 장비를 확충해 대응에 나서고 있다”며 “가용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올해 초와 같은 참사가 재발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현우 기자 khw82@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