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도 식당도 발길 '뚝'… '한인 구금 사태' 조지아 경제 직격
구금 직원 유급휴가 후 출근
배터리 합작 공장 재가동 불구
지역 경제 회복 기미는 깜깜
식당·호텔·도소매업 부진 계속
지난달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대규모 한국인 구금 사태가 발생했던 미국 조지아주에서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그룹의 배터리 합작 공장 프로젝트가 재개하지만 후폭풍은 계속되는 모습이다. 해당 사태로 인해 지역경제가 직격탄을 맞은 뒤 회복 기미는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14일 주요 외신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미 이민 당국에 구금됐다 풀려난 LG에너지솔루션 및 협력사 직원들은 한 달 간의 유급휴가를 마치고 전날(13일) 업무에 복귀했다. 지난 2일 회사가 “추석 연휴 이후부터 필수 인력 중심의 미국 출장을 단계적으로 재개할 계획”이라고 밝힌 만큼, 이미 필수 인력을 현장에 보내기 시작하며 공장 건설 정상화 작업에 착수했다. 또 구금됐다 일선에 복귀한 인원들을 대상으로도 출장 의향을 파악하는 등 출장 인원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한 LG CNS, 현대엔지니어링 등의 파트너사도 자체 내규에 따라 출장을 재개할 것으로 전해졌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달 4일 미국 조지아주에서 건설 중인 현대차그룹과의 배터리 합작 공장에서 자사 47명과 협력사 인원 250여명이 이민 당국에 의해 구금된 이후 미국 출장을 전면 중단한 바 있다.
근로자들은 구금 사태 8일 만에 귀국했고, LG에너지솔루션은 회사 임직원과 협력사 직원에게 추석 연휴 종료까지 유급휴가, 건강검진, 심리상담 프로그램 등을 지원했다.
그러나 여전히 지역 경기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모습이다. 조지아주 공영방송 WABE와 ‘더 커런트’는 14일(현지 시간) ‘ICE 단속이 조지아 항만 지역에 파문을 일으키다’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애틀랜타 투자회사 ‘턴스톤 그룹’의 칩 존슨 최고경영자는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 인근 현대차 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인근 호텔에 투자했다. 현대차 근로자들이 공장 근처의 유일한 숙박시설에 꾸준히 묵을 것이라는 기대감이었다. 그러나 지난 7월 개장 후 호텔에 투숙한 현대차 근로자는 단 한명 뿐이었다.
조지아주 서배너 지역 아시안 식품 도매점 ‘비엣 후옹’은 1년 전 현대차 공장 맞은편에 대형 식품점을 열고 호황을 누렸다. 많은 한국인 근로자가 점심시간에 식사하고 간식을 즐겼으며, 퇴근 후 식료품을 구입해갔다.
그러나 미국 이민 당국의 대규모 한국인 구금사태 이후, 식품점 손님은 계속 줄어들고 있다. 현지 주민들은 한국 식료품에 관심이 없으며, 식품점 측은 재고만 쌓여 신상품을 구입할 여력이 없다.
현대차 공장 인근 풀러시의 한식당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익명을 요구한 한식당 업주는 지난달 매출이 18%가 줄었으며, 앞으로 얼마나 버틸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체포된 한국인뿐만 아니라, 이민 단속에 놀란 한국인들도 귀국했다”며 “한국인들 누구도 여기에 오고 싶어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한식당 업주는 “이전에는 한국인 20~30여명이 매일 회식을 가졌지만, 단속 후 손님 5명이면 많은 편”이라며 “지금은 식재료가 상해서 버리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현대차 공장이 위치한 서배너 지역은 지난달 제지공장 폐쇄로 대량 실업자가 발생했다. 현대차 공장은 구금사태 이후인 지난달 30일 서배너 공과대학 캠퍼스에서 공개 채용행사를 개최했다. 조지아주 전역에서 온 350여 명의 구직자가 이력서를 들고 면접에 응했다.
채용행사장을 찾은 다시어 모슬리 씨는 현대차 공장 맞은편의 총기 공장에서 4년간 근무하다 지난달 해고됐다. 모슬리 씨는 “출퇴근에 1시간이 걸려도 좋으니, 좋은 보수의 일자리를 찾고 싶다”고 밝혔다. 트럭 운전사인 코디 베닝턴 씨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고 싶어 지원했다”고 말했다.
이력서를 손에 든 62세의 퇴역군인 브루스 홀 씨는 “공채 행사는 현대차가 장기적 안목에서 지역사회에 기여하겠다는 신호”라며 “돈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함께하기 위한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