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HMM 부산 이전 지역사회 속도전 해양수도 견인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적 해운사 와야 완결된 생태계 가능
민영화 변수 불구 본사 이전 지연 안 돼

HMM의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 알헤시라스호가 2020년 4월 부산 신항에 처음 입항한 모습. 연합뉴스 HMM의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 알헤시라스호가 2020년 4월 부산 신항에 처음 입항한 모습. 연합뉴스

국내 최대 해운선사 HMM의 지배 구조 변수로 부산 이전 논의가 다시 불붙고 있다. HMM의 1대 주주인 산업은행에 새 수장이 내정되고, 포스코그룹이 HMM 지분 인수를 검토하고 나서면서 민영화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부산의 업계와 시민단체는 HMM의 정체성 변화와 맞물려 조기 이전을 실현하기 위한 총력전에 돌입한 모양새다. 지역의 해운 기업이나 지자체, 상공회의소의 HMM 지분 참여 검토와 함께 HMM 노조 설득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기에 포스코의 인수 가능성이 변수로 떠오르자 막대한 공적 자금이 투입된 HMM의 공공성 확보와 지역 사회 소통 그리고 조속한 부산 이전 원칙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HMM 대주주는 산업은행(36.0%)과 한국해양진흥공사(35.7%)다. 정부의 영향력 아래 있기 때문에 지역균형발전을 실현하는 지역 이전에 낙관론이 나왔던 이유다. 한데, 현재 자사주 매입이 진행 중이라 지배 구조의 변화 가능성이 제기된다. 예컨대 포스코가 제철 원료·제품 자체 수송을 노리고 인수전에 뛰어들어 대주주가 될 수 있다. 준공기업이었던 HMM이 민영화 수순을 밟는 것이다. HMM의 조기 이전을 바라는 지역의 입장에서는 ‘정체성 변수’가 달갑지는 않으나 그렇다고 이전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되게 방치할 수는 없다. 해양수도의 도약을 위해 필수적인 HMM의 부산 이전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한국해운협회는 포스코의 HMM 인수에 반대하는 성명을 11일 발표했다. 대기업의 진출로 기존 소규모 선사가 퇴출되는 등 해운 생태계가 파괴될 것이라는 이유다. 포스코 측은 HMM 민영화가 거론될 때마다 후보군으로 거론됐지만 매번 손사래를 쳤는데, 이번에는 ‘검토 중’이라는 다소 적극적인 입장으로 선회했다. 만에 하나 지배 주주를 염두에 두고 있더라도 HMM의 공공성이 훼손되는 운용 계획을 세워서는 안 된다. 몰락 직전이었던 한국 해운산업을 재건하기 위해 정부가 국민 혈세를 투입해 HMM을 키웠다. 그 덕분에 HMM의 선복량은 약 90만TEU로 5년 간 갑절 늘어 세계 8위 컨테이너선사로 우뚝 선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해양수도를 견인하는 구체적 사례로 HMM 본사의 부산 이전을 제시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도 해수부 산하기관은 물론 HMM 등 해운기업 이전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부산이 해양강국의 전초 기지가 되려면 바다와 관련한 교육과 연구, 금융과 법률 서비스는 물론 경쟁력을 갖춘 기업까지 아우르는 완결된 생태계를 갖추는 것이 필수다. 각국의 선도 항만에 국적선사 본사가 위치한 것은 선주·화주·항만 간 소통과 신뢰 향상에 도움이 되고, 연관 산업 집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적 선사 HMM이 부산에 안착하는 그날 해양수도 미래를 향한 출항은 시작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