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추경 876억 원 확정…“고수온 대응·김 수급 관리·항만SOC 등 반영”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고수온 대응· 김 수급 관리 등 민생 안정에 80억
항만·어항 SOC 보강에 776억 원 편성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기반 구축에 20억 원

고수온 피해 예방을 위해 양식장에 수차(산소공급) 시설을 가동 중인 모습. 부산일보DB 고수온 피해 예방을 위해 양식장에 수차(산소공급) 시설을 가동 중인 모습. 부산일보DB
해수부 2025년도 제2회 추경안. 해수부 제공 해수부 2025년도 제2회 추경안. 해수부 제공

해양수산부는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이하 추경)이 876억 원 규모로 확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추경은 △여름철 고수온 대응 및 김 수급 관리 등 민생 안정에 80억 원 △항만·어항 SOC(사회간접자본) 보강에 776억 원 △해양레저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에 20억 원 등이 편성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여름철 고수온 대응을 위해 산소 공급기, 차광막 등 장비 지원 사업에 20억 원을 추가로 편성했다. 해수부는 대응 장비 보급 뿐만 아니라 고수온기 양식장 관리 등 현장점검을 강화하고, 수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예정이다.

김 수출 증가에 따라 마른김을 안정적으로 생산·공급하기 위해 노후 김 건조기 교체 지원 사업에도 60억 원을 새롭게 편성했다. 노후화된 김 건조기를 교체할 경우 보다 많은 마른김을 안정적으로 시장에 공급할 수 있고, 품질도 향상돼 김 수출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수산부 홍래형(왼쪽) 수산정책관이 지난 1월 14일 진도군 수품항을 방문해 마른김 가공 현장을 점검하는 모습. 해수부 제공 해양수산부 홍래형(왼쪽) 수산정책관이 지난 1월 14일 진도군 수품항을 방문해 마른김 가공 현장을 점검하는 모습. 해수부 제공

어선의 안전한 정박, 어촌지역 개발·소득 증대를 위한 핵심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국가어항’ 사업에 271억 원을 증액 편성했다. 총 22개 지구를 대상으로 정비 사업, 재해 대비 사업 등을 신속히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과거 대형 태풍으로 파손된 가거도항 방파제를 조속히 복구·보강하기 위한 ‘가거도항 복구’ 사업에 80억 원 △흑산도항과 국도항의 적기 준공을 위한 ‘일반항’ 사업에 140억 원 △군산내항과 울산신항의 재해 대응 능력을 보강하기 위한 ‘재해안전항만구축’ 사업에 206억 원 △노후 항만시설 13개소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항만시설유지보수’ 사업에 79억 원을 추가로 편성했다.

또한 해양레저관광 명소를 조성하기 위해 해양관광육성 사업에 20억 원이 추가로 편성됐다. 지역 특색을 담은 해양레저관광 기반을 속도감 있게 조성함으로써 연안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이번 추경을 통해 어업인과 국민의 민생 안정에 기여하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추경 편성 목적을 충실히 달성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