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PC 3급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한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해수부 추진 사업 우선협상대상 선정
1만 6560t급·LNG 이중연료 체계 등
산자부 PC 2급 쇄빙선 개발도 수주

한화오션이 극지연구소에 제안해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차세대 쇄빙연구선 조감도. 한화오션 제공 한화오션이 극지연구소에 제안해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차세대 쇄빙연구선 조감도. 한화오션 제공

한화오션이 대한민국 극지 연구 확장의 마중물이 될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에 나선다.

한화오션은 1일 해양수산부가 극지 항해와 연구를 위해 추진하는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총톤수 1만 6560t으로 기존 아라온호(7507t)의 갑절 규모다.

LNG 이중연료 전기추진체계를 탑재하고 1.5m 두께 얼음을 깨고 나아갈 수 있는 양방향 쇄빙이 가능한 PC(Polar Class) 3급에 영하 45도 내한 성능도 갖춘다.

여기에 극한의 조건에서도 최상의 연구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휴식과 여가 활용이 가능한 선실과 응접실, 식당 등도 최고급 여객선 수준 안락함과 편의성을 느낄 수 있게 꾸민다.

오는 7월 본 계약 체결 뒤 설계에 들어가 2029년 12월까지 건조를 완료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2009년 첫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를 건조해 독자적으로 남·북극해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극지방 환경 변화로 인한 연구 범위의 확대와 친환경 규제 강화 등으로 후속 쇄빙연구선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2008년부터 북극항로 가능성에 주목해 극지용 선박 개발을 시작한 한화오션은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의 쇄빙선 건조 기술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를 토대로 2014년 15척, 2020년 6척 등 총 21척의 쇄빙 LNG 운반선을 수주해 성공적으로 건조했다.

이는 전 세계 조선사를 통틀어 가장 많은 건조 실적이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아라온호와는 차별화된 ‘완전히 새로운 쇄빙 연구 플랫폼’을 지향한다”면서 “글로벌 톱티어 조선소인 한화오션의 핵심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오션이 극지연구소에 제안해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차세대 쇄빙연구선 조감도. 한화오션 제공 한화오션이 극지연구소에 제안해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차세대 쇄빙연구선 조감도. 한화오션 제공

특히 이번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를 발판 삼아 쇄빙선 분야에 고삐를 죌 계획이다.

북극 해빙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북극은 단순히 새로운 뱃길이 아닌 자원, 물류, 기술 경쟁의 전장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한화오션은 발 빠르게 쇄빙선 분야를 미래 성장 동력의 하나로 키워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화오션 특수선사업부 김호중 상무는 “압도적 실적으로 검증된 세계 최고 쇄빙 기술력으로 이번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에 전력을 하겠다”면서 “쇄빙선 수요가 커지고 있는 미국 측에도 한화오션의 쇄빙선 건조 역량을 확실히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화오션 제품전략기술원은 최근 산자부 국책과제인 ‘북국 고위도 연중 운항이 가능한 세계 최고 수준의 PC 2급 쇄빙선 개발’ 과제도 수주해 남북극 탐험을 향한 대한민국의 여정에 기여할 계획이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