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물썰물] 신개념 유물창고
아라가야의 비밀을 간직한 경남 함안에 ‘신개념 유물창고’인 영남권역 예담고가 최근 들어섰다. 대전의 충청권역 예담고, 전주의 호남권역 예담고, 목포 해양권역 예담고에 이어 전국 네 번째로 개관했다.
옛것을 담는 공간이라는 뜻을 지닌 예담고는 현행 규정상 국가에 귀속되지는 않지만 교육이나 학술 연구가 필요한 비귀속 유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립됐다. 기존엔 유물을 수장고 등 밀폐된 장소에 보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박물관 등에 전시하는 국가 귀속 유물이 아닌 비귀속 유물은 일단 수장고에 들어가면 다시 빛을 볼 가능성이 적었다.
예담고의 가장 큰 특징은 방문객들이 유물을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다는 것. 유물을 보존하는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국민들에게 문화유산을 향유할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관람과 체험도 무료로 진행한다.
함안 예담고도 이런 건립 취지에 따라 수장고, 유물정리실 이외에 관람객을 위한 전시실, 교육실 등을 갖췄다. 이곳에 보관 중인 유물은 주로 토기와 철기류 등이다. 청동기와 가야·삼국시대, 조선시대의 유물을 망라한다. 부산 등 영남권에서 개발 목적으로 실시된 각종 건설공사 등을 계기로 발굴된 다양한 유물들이 모여있다. 전시실에서는 유물 발굴조사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유물 그리기, 흑백 사진 인화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특히 개방형 수장고를 방문하면 누구나 박스에 담긴 유물을 접할 수 있다. 문화유산에 담긴 역사와 선조들의 문화를 한층 가깝게 느껴보는 ‘과거로의 시간여행’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영남권역 예담고가 사용하지 않고 폐쇄된 길이 187m 모곡터널을 활용해 개관한 점도 흥미롭다. 이 터널은 2011년 전주~마산 철도 구간에 건설됐다. 이후 마산~진주 복선전철 개통으로 사용되지 못하게 됐으나 이번에 예담고로 재탄생했다.
특히 함안 예담고는 다른 예담고와 달리 가야권 비귀속 유물을 다수 보관 중이다. 함안 아라가야, 김해 금관가야, 고성 소가야, 창녕 비화가야 등 영남권 가야 연맹 국가들은 탁월한 철기문화를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다. 가야인들은 수많은 고분 유적을 남겼지만 가야사 복원은 이 순간까지도 미진하다. 그런 점에서 가야권 비귀속 유물을 다수 보관 중인 함안 영남권역 예담고는 ‘잊힌 제국’ 가야의 진면목을 일반에 알리는 첨병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영철 논설위원 cyc@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