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환자 10명 중 1명, 입원 대기… 평균 17.5일 기다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24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결과 전년보다 3.9일 ↑
2017년 이후 최장 기록… 의정갈등 여파 반영 분석

지난해 원하는 날짜에 입원하지 못한 환자들의 평균 대기 기간은 17.5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 첫 조사 실시 이후 최장 기간에 해당한다.

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 의뢰로 실시한 ‘2024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월 22일∼9월 27일 1만 4681명을 대상으로 외래 및 입원 진료 이용 경험에 관해 설문(가구 방문 방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다리지 않고 당일 입원하거나 환자가 원하는 날짜에 예약해서 입원한 경우는 90.2%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89.4%)에 비해 0.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10명 중 1명이 당일이나 원하는 날짜에 입원하지 못한 셈이다.

원하는 날짜에 입원이 안 돼 기다린 경우 대기 기간은 평균 17.5일로, 2023년(13.6일)보다 3.9일 길어졌다. 의료서비스 경험조사가 시작된 2017년 이래 최장 기간을 기록한 것이다. 원하는 날에 입원하지 못한 환자 중에서는 10일 이상 기다린 경우가 69.2%로 가장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전공의 사직 사태가 벌어지면서 대기 기간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외래 진료의 경우 99.6%가 당일 또는 원하는 날짜에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하는 외래 진료 날짜로부터 대기한 환자는 0.4%에 그쳤으며, 이들은 평균 11.4일을 기다렸다. 외래 진료 대기 기간이 30일 이상에 달한 경우는 19.8%로, 이들은 상급종합병원 의료기관을 방문하기 위해 대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외래 진료를 받기 위해서 접수 후 기다린 시간은 평균 16.7분, 진료 시간은 평균 7.0분이었다. 응답자의 61.1%는 실제 진료 시간이 1∼5분이라고 답했다.

의료 서비스의 경우 입원 환자의 95.4%, 외래 환자의 92.3%가 전반적으로 의료 서비스에 만족했다고 응답했다. 입원·외래 환자 모두 담당 의사의 예의 있는 응대, 알기 쉬운 설명 등의 경우엔 90% 이상이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외래 환자의 경우 의사의 배려(88.1%), 환자 의견을 반영한 진료(88.2%), 충분한 대화(82.4%) 항목은 만족했다는 응답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