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극초음속 미사일’ 2차 정점 고도·속도 증명 안돼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IRBM 시험 발사 성공 자평 불구
미사일 활강 단계 속도 공개 안해
변칙 궤도 비행 여부도 확인해야

북한 미사일총국이 지난 6일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7일 보도했다. 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화상감시체계로 참관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북한 미사일총국이 지난 6일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7일 보도했다. 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화상감시체계로 참관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6일 극초음속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면서 남북 간 ‘비대칭 무기’ 등장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극초음속 미사일에 대해선 ‘게임 체인저’라는 평가가 나오지만 무적의 무기는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북한이 7일 공개한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 발사 사진을 보면 이 미사일은 지난해 4월 북한이 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6나형과 같은 기종으로 추정된다. 극초음속활공체(HGV)를 탑재한 기종이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통상 대기권 내에서 마하 5 이상 속도로 비행하면서 변칙 궤도로 비행하는 미사일을 뜻한다. 기존 미사일 방어 체계의 빈틈을 파고드는 방식이어서 ‘게임 체인저’로 불린다. 북한도 “전장의 판도를 바꾸는 수단, 즉 누구도 대응할 수 없는 무기 체계”라고 묘사했다.

북한이 지난 6일 발사한 미사일의 전반적 비행은 원만하게 이뤄진 것으로 한미 군과 정보 당국에 포착됐다고 전해졌다. 관건은 극초음속 미사일이라는 명칭에 걸맞은 비행 특성을 보였는지다. 북한은 “미사일의 극초음속 활공 비행 전투부(탄두)는 음속의 12배에 달하는 속도로 1차 정점 고도 99.8㎞, 2차 정점 고도 42.5㎞를 찍으며 예정된 비행 궤도를 따라 비행했다”고 수치를 제시했다.

지난해 4월 발사 때도 북한은 미사일이 두 차례 정점을 찍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당시 한미 당국은 1차 정점 이후 수평으로 기동하다가 하강하는 궤적이었다고 평가했다. 북한이 실제로 2차 정점, 즉 비행 중 궤도 변경에 성공했다면 기술적 진전에 해당한다. 다만 두 차례의 상승·하강은 극초음속 미사일로서는 부족한 횟수라는 평가가 나온다.

북한은 또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의 발동기 동체 제작에는 새로운 탄소섬유 복합 재료가 사용됐다”고 밝혔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대기가 희박한 우주 공간을 비행하는 일반적 탄도미사일과 달리 대기권 내로 비행하는 구간이 길기 때문에 저항과 마찰에 강한 신소재 적용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는 고체연료 미사일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탄소섬유를 대북 제재 감시 대상에 포함해 관리하고 있는데, 북한은 제재를 뚫고 이를 적용했다고 자랑한 셈이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탄소섬유 기술을 러시아로부터 전수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에 성공했다고 해도 방어 불가능한 무기는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저공 비행하는 특성상 지구 곡률에 의해 감시 범위가 제한되는 지상 감시 장비 대신 공중 정찰 또는 인공위성 등 우주 감시 장비로 탐지가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