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분열의 허물 벗고 ‘공존의 길’ 열자 [함께 사는 세상 2025]
밝아온 2025년 ‘푸른 뱀의 해’
유연하고 현실적인 동물 뱀처럼
지역·빈부 등 양극화 해법 모색
초고령 사회·지역 소멸의 대안
지방분권 통한 부산 미래 설계
2025년 을사년은 ‘푸른 뱀의 해’다.
뱀의 이미지는 통상 음험하고 불길하다. 반대로 생명과 지혜를 상징하기도 한다. 온몸을 땅에 붙이고 기어다니는 현실적인 처세, 음모와 모략이 전개되는 신화 속 장면마다 빠지지 않는 특유의 존재감. 뱀의 이미지는 이렇듯 모순적이다.
2024년 갑진년 용의 해는 비상계엄, 탄핵, 무안 제주항공 참사 등으로 큰 아픔을 남기고 저물었다. 표류 중인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과 산업은행 이전 논의는 수도권과 지방의 심리적 간극만 키웠다. 초고령 도시 부산을 필두로 대한민국 전체가 2024년 마지막 달인 12월 기어이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지역과 수도권, 청년과 노인, 부자와 빈자 사이 골을 메울 해법은 요원하다. 계층 간 거리를 좁히고 행복한 사회를 여는 모멘텀이 절실한 2025년이다.
〈부산일보〉는 을사년 슬로건으로 ‘함께 사는 세상 2025’를 내놨다. 유연한 뱀의 지혜로 찢어진 사회와 계층을 봉합하고, 지역의 아픔을 달래고자 한다. 탈피를 거듭하는 뱀의 생명력으로 ‘함께 사는 세상’으로 만들 실마리를 찾는다.
먼저 기획 ‘초고령 지혜, 부산서 찾는다’로 광역시 중 최초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부산의 현재를 조명한다.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고 있는 한국, 그 가운데서도 노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부산이다. 새로운 인구 구조를 인정하고, 초고령 사회에 맞는 정주 환경을 고민한다.
부산은 급속한 고령화와 바닥까지 떨어진 출산율에 일자리 부족마저 겹쳤다. 제2의 도시라는 위상마저 흔들린다. 인구 소멸에 맞설 부산만의 새로운 인구 정책과 이민 정책을 고민할 시점이다.
현재 부산의 외국인 주민 비율이 3.4%다. 전국으로 보면, 비율이 8번째에 불과한 폐쇄적인 도시다. 외국인 환대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 기획 ‘부산, 외국인 환대도시로’는 이민 정책의 핵심인 외국인 유학생과 근로자의 목소리를 듣고 다문화 정책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22대 국회 개원 이후 극한으로 치닫고 있는 탄핵 정국도 뱀의 눈초리로 들여다 본다.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은 헌정사상 첫 대통령 체포영장 발부로 이어졌다. 제왕적 대통령제와 소모적인 양당 체제에 대한 회의감이 높다. 부울경 정치학자의 모임인 ‘21세기 정치학회’에 개헌을 물었다. 과연 개헌 논의의 적기가 왔을까, 6공화국을 지탱해 온 ‘87 체제’는 한계에 다다랐을까.
중앙정치의 난맥상을 파헤치는 동시에 지방정치의 맨얼굴과도 마주한다. 2025년은 1995년 첫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치른 지 30년이 되는 해. 그러나 지역은 소멸하고 수도권은 점점 덩치를 키우고 있다. 기획 ‘지방자치 30년 균형발전 원년’은 그간 지방자치 노력을 평가하고, 나아가야 할 부산의 미래를 성찰한다.
땅에 발을 붙이고 살며 끊임없이 허물을 벗는 부산의 노력과 열망은 뱀과 똑 닮았다. 분권이라는 거대 담론을 강공 일변도로 밀어붙였던 용의 해, 부산의 도전은 고배를 마셨다. 좀 더 유연하고, 좀 더 현실적인 뱀의 처신이 필요하다. 용의 해가 가져온 아픔을 뱀의 해에 치유해야 한다. 반전된 ‘용두사미’의 의미를 되새겨야 할 2025년 을사년이 밝았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