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경제학상 아제모을루 등 3명 수상…왜 부유한 국가, 가난한 국가 생겼나 연구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스웨덴 왕립과학원, 존슨·로빈슨 등 수여
사회 제도 국가번영에 미치는 영향 연구
포용적인 정치·경제 체제돼야 국가 성공

10월 14일 스웨덴 스톡홀름의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에서 올해 노벨 경제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월 14일 스웨덴 스톡홀름의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에서 올해 노벨 경제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노벨 경제학상은 국가 간 불평등 연구에 기여한 다론 아제모을루(57), 사이먼 존슨(61), 제임스 A. 로빈슨(64) 등 3인에게 돌아갔다.

아제모을루는 튀르키예 태생으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다. 존슨은 영국 태생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 출신이며 그 역시 MIT 교수다. 역시 영국 출신인 로빈슨은 미국 시카고대 교수로 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14일(현지시간) “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번영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인정해 이들에게 노벨 경제상을 수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들 3명은 사회적 제도가 국가 번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야코브 스벤손 왕립과학원 경제과학상 위원장은 “국가 간 소득 차이를 줄이는 것은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라며 “수상자들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 제도의 중요성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번영과 빈곤의 역사적 기원, 새로운 기술이 경제 성장과 사회 양상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해온 경제학자로 ‘예비 노벨상’으로도 불리는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을 수상한 적이 있다.

존슨 교수와 로빈슨 교수는 왜 어떤 나라는 부유하고 어떤 나라는 가난한지에 대한 연구에 집중해 국가의 성패를 가르는 열쇠가 제도라는 점에 주목했다. 특히 ‘포용적 제도’를 구축한 나라에서 경제 성장과 국가 번영이 이뤄진다고 봤다.

포용적 제도란 일반 대중의 재산권을 보장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공정한 경쟁의 장을 제공하는 제도를 말한다. 반대로 소수의 집단에 부와 권력이 집중된 ‘착취적 제도’라는 개념도 제시했다.

영국의 고전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에서 자유무역을 국가 번영의 핵심으로 설명했다면 이들은 현대 사회에서는 정치적인 제도가 나라의 부를 창출한다고 본 것이다.

특히 아제모을루와 로빈슨은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의 공동 저자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은 국내에서도 정치인들 사이에서 널리 읽히기도 했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한 국가가 경제적으로 성공하려면 포용적인 정치·경제 체제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남한과 북한에도 관심이 깊다. 지리적·역사적·인종적 배경이 같은 남한과 북한의 경제발전 차이 역시 제도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노벨 경제학상은 1901년부터 시상된 다른 5개 부문과 달리 1969년부터 수여돼왔다. 이로써 올해 노벨상은 지난 7일 생리의학상부터 이날 경제학상까지 수상자 발표를 모두 마쳤다.

노벨상 시상식은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에 열린다. 물리학·화학·생리의학·문학·경제학상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평화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수여된다. 수상자에게는 메달과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4억 3000만원)가 주어진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