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야 지도부 난타전 된 금정구 보선, 정책대결 펼치길
정국 주도권 분수령 돼 지역 안 보여
본질로 돌아가야… 유권자 판단 중요
코앞으로 다가온 10·16 부산 금정구청장 보궐선거가 여야 지도부의 대리전 양상으로 변모했다. 22대 국회 원 구성 이후 처음 치러지는 선거인 데다 하반기 정국 주도권을 쥘 분수령으로 인식되면서 거대 양당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들이 수시로 달려와 선거전에 뛰어들고 있다. 마치 금정구청장 보선이 여야 지도부의 자존심 대결의 장으로 변모한 꼴이다. 이번 보선이 2년 뒤 있을 지방선거의 민심을 확인할 바로미터가 된다는 점에서 여야가 총력전을 펼치는 것에 대해서는 완전히 이해 못할 건 아니다. 하지만, 선거에 지역이 안 보인다는 게 문제다. 금정 보선이 하반기 정국 주도권 확보의 분수령이 되면서 정작 두 구청장 후보의 존재감은 보이지 않고 있다.
금정구는 만 65세 이상 고령층 인구 비율이 높아 부산에서도 국민의힘 강세 지역으로 꼽히지만,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후보 단일화에 성공한 뒤 총력전을 벌이면서 여야 후보가 오차범위에서 접전을 벌이고 있는 양상이다. 지난 11∼12일 진행된 사전투표율은 20.63%로, 2022년 지방선거(21.32%)와 2021년 부산시장 보궐선거(20.62%) 당시 금정구 사전투표율과 비슷하다. 이렇게 선거가 예측불허 상황으로 흘러가면서 여야 지도부가 화력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렇다 보니 문제는 지역 현안보다 ‘대통령 실정’ ‘김여사 처벌’ ‘정권 심판’ 등 중앙정치 이슈가 잠식한 상황이 됐다.
금정구는 부산에서도 보수 세력이 강한 지역으로, 역대 9번의 지방선거에서 보수정당 후보가 8차례 이겼다. 그렇다고 여당 승리를 쉽사리 장담할 순 없다. 민주당은 2018년 정미영 금정구청장을 배출한 데다 지난 4월 총선에서 민주당 박인영 후보의 득표율이 43.37%에 달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보선은 단순히 기초자치단체장 1석을 뛰어넘는 정치적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다. 국민의힘은 16개 구·군 지자체장이 모두 여당이었던 만큼 금정을 뺏길 수 없다는 입장이다. 야당은 금정에서 이기면 2026년 지방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는 디딤돌을 확보하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 결국 지역은 사라지고 중앙정치 논리만 남은 꼴이다.
보궐선거에 전국적 시선이 쏠리게 만든 건 누구도 아닌 바로 정치인들이다. 물론 이번 금정구청장 보선은 총선 이후 민심을 가늠하는 선거란 점에서 주목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런 양상과는 대조적으로 정작 구청장 후보들이 지역과 민생을 어떻게 잘 운영할지 등에 대한 정책대결은 기대치에 못 미치고 있다. 이러다가 지역 유권자들의 관심이 멀어질까 걱정된다. 이제라도 여야는 본질로 돌아가야 한다. 남은 선거전 하루만이라도 정책대결을 제대로 하는 모습을 보이길 바란다. 아직 어느 후보를 지지할지, 투표장에 갈지 정하지 못한 유권자도 적지 않다. 지역 유권자들은 매의 눈으로 후보들의 자질과 역량, 비전과 정책을 철저히 따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