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사전 투표율, 정권 심판인가 보수 결집인가
금정 보선 표심 향배에 쏠리는 눈
진보 진영에 유리하다는 게 통설
역대 사전 투표율 최고 지난 총선
금정 민주 최고 득표율 갱신 전력
보수 막판 표몰이 여부 최대 관심
10·16 금정구청장 보궐선거 사전 투표율이 예상과 달리 선전하면서 표심 향배에 관심이 쏠린다. 사전 투표율이 높으면 진보 진영에 유리하다는 정치권의 통설이 최근까지 부산에서도 일정 부분 증명돼 온 까닭에 막판 보수층 결집이 관건으로 꼽힌다.
최근 선거에서 보수 진영이 압승해 왔지만 부산 내 더불어민주당 지지세는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려왔다. 31.28%로 집계되며 부산 역대 총선에서 가장 높은 사전 투표율을 기록한 지난 4월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국민의힘이 18석 가운데 17석을 가져가며 의석수만 보면 압승이다. 그러나 민주당이 후보를 낸 17곳(연제 제외)의 민주당 후보 총 득표율은 44.98%(80만 7990표), 국민의힘은 53.82%(96만 6831표)로 득표율 격차는 8.84%포인트(P)에 그친다. 특히 금정구에서 민주당 총선 후보로 나섰던 박인영 전 부산광역시의회 의장은 43.4%로 역대 금정구 선거에 나선 진보 후보 중 최고 득표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사전 투표율이 높을수록 진보 진영에 유리하다는 공식이 부산에서도 어느 정도 입증되면서 이번 보궐선거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 같은 전망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낮은 국정 운영 지지율이 뒷받침한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4일(공휴일인 1일과 3일 제외)까지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504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5%P, 유무선 자동응답 방식, 자세한 내용 여론조사심의위 참조)한 결과, 부산·울산·경남(PK)에서 윤 대통령의 국정 수행 긍정 평가는 35.5%였다. 반면 부정 평가는 61.7%에 달한다. 금정구가 PK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윤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지지층이 투표장에 나가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이에 실제로 민주당은 선거 기간 내내 윤석열 정부의 실정을 전면으로 내세워 왔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부산을 찾을 때마다 “일을 못 하면 야단을 치거나 권한을 회수해야 한다”(지난달 25일 현장 최고위), “잘못하면 책임을 물어야 한다”(지난 9일 이마트 금정점 집중 지원 유세) 등 윤 대통령을 비판해 왔다. 이러한 민주당의 선거 전략이 사전 투표율을 높이는 데 영향을 준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윤 대통령과 한동훈 대표의 갈등이 지지층을 피로하게 했다는 지적도 내놓는다. 이 같은 피로감이 투표 참여를 기피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총선에 비해 관심도가 물론 낮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주말이 포함된 이번 선거 사전 투표율이 6개월 전에 현저히 못 미치기 때문이다. 부산 국민의힘 관계자는 “지난 22대 총선에서 개헌 저지선 사수를 위해 부산에서 마지막 힘을 모아줬지만 이후 벌어진 당정 갈등으로 인해 당원들 사이에서도 불만을 토로하는 게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이 때문에 한 대표의 계속된 금정구 방문도 효과는 반감됐을 것이라는 게 이 관계자 설명이다.
결국 이틀 남은 레이스 기간 보수 결집이 이뤄질 수 있느냐가 이번 보궐 선거의 최대 관전 포인트로 남을 전망이다. 금정구 보궐선거의 경우 향후 정국 주도권을 누가 쥐고 가느냐와 밀접하게 연관 돼 있다. 보수 정당의 텃밭으로 여겨져 온 금정구를 넘겨주게 될 경우 민주당은 보선 승리를 고리 삼아 탄핵 정국의 고삐를 당길 수 있다. 한 대표뿐 아니라 윤 대통령의 정치적 생명과 가깝게 닿아 있다는 말이다. 금정구 내 보수 성향의 유권자가 본 투표 당일 이를 의식해 투표장에 대거 몰려갈지 관심이 집중된다.
다만, 민주당에서는 이를 의식해 막판까지 정권 심판론에 고삐를 당기면서도 전략적으로 그 수위를 조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야권 관계자는 “보수 강세 지역인 금정구에서 민주당 후보가 막판까지 선전하는 양상을 보여 온 만큼 이제는 그 속도를 조절하는 데 집중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보수층이 본 투표 당일 투표장에 나가지 않도록 앞으로 메시지도 더욱 신중해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