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 '가야진용신제' 국가무형유산 세 번째 고배
유산청 올해 초 보류 결정에 기대
6일 해인사에서 재심의 결과 ‘부결’
“제례에 민속학 결합 근거 부족” 평가
양산시, 네 번째 승격 추진 여부 검토
양산시가 4월 6일 가야진용신제 재단 앞에서 용신에게 뱃길의 안전과 국가의 태평성대, 강우, 국가무형유산 지정 등을 기원하는 제를 올리고 있다. 양산시 제공
경남도 무형유산 제19호인 ‘가야진용신제’의 국가무형유산 세 번째 승격 시도가 국가유산청의 재심의 끝에 결국 고배를 마셨다.
양산시는 지난 6일 합천 해인사에서 열린 국가유산청 무형유산위원회 전통지식분과 회의에서 ‘가야진용신제’의 국가무형유산 승격을 위한 재심의 결과 ‘투표 끝에 동수로 나와 부결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로써 가야진용신제의 국가 승격 고배는 2015년과 2019년에 이어 세 번째다. 이번 재심의는 올해 초 양산시가 가야진용신제의 국가무형유산 승격 신청 결과 재심의를 위한 ‘보류’ 결정에 따른 것이다.
고배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첫 번째와 두 번째 실패 원인이었던 ‘국가 제례 의식에 풍물놀이 등 민속학 결합의 근거 부족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양산시는 재심의를 놓고 전통지식분과 위원을 상대로 ‘국가 제례 의식에 가미된 민속학적 요소가 용신제의 명맥 유지를 위한 불가피한 시대적 상황’이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설득했으나 결과적으로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양산시는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재심의 결과 공문을 받아 고배 원인을 분석한 뒤 네 번째 승격 추진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가야진용신제는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 말까지 지낸 국가 제례 의식으로 ‘용신’에게 뱃길의 안전과 국가의 태평성대를 기원하던 행사다. 일제 강점기 때 홍수로 제단이 휩쓸리고, 제례가 금지되는 등의 어려움을 겪었지만, 국가가 아닌 원동 주민들에 의해 그 명맥이 이어져 오고 있다.
용신제는 과거 흥해(동)와 공주(서), 가야진(남), 한강(북) 등 4대 강 유역에서 치러졌으나 현재 가야진용신제만 남아있다.
양산시는 2015년과 2019년 가야진용신제의 국가무형유산 승격에 나섰지만, ‘자료 미흡과 ‘국가 제례 의식에 풍물놀이 등 민속학 결합의 근거 부족, 세시풍속의 무분별한 사용’ 등의 이유로 실패했다.
원동 주민들이 4월 6일 용신에게 뱃길의 안전과 국가의 태평성대, 강우 등을 기원하고 있다. 양산시 제공
양산시는 2023년 하반기 국가유산청 심의 과정에서 지적됐던 문제를 보완한 뒤 세 번째 도전에 나서 지난해 2월 1차 관문인 국가무형유산 신규 조사 대상으로 지정됐다.
양산시는 1억 5000만 원을 들여 제례 의식에 사용되는 전통 제기와 복장 등을 복원했고, 같은 해 10월 승격 여부를 결정짓는 현장 실사인 지정 인정 조사까지 받았다.
그러나 전통지식분과는 올해 초 회의를 열어 재심의를 위한 ‘보류’ 결정을 내렸다. 양산시는 ‘보류 결정이 승격을 위한 보류’로 보고, 국가유산청을 찾아 보류 이유와 재심의 때 제출할 보완 자료 내용과 범위를 파악한 뒤 9월 보완 자료를 제출했다.
양산시 관계자는 “재심의에서 투표를 실시했고, 이 결과 ‘동수가 나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국가유산청으로부터 관련 공문을 받아야 정확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