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 산사태 사망 4명으로 늘어…실종 탓 피해 커질 듯

김현우 기자 khw82@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극한호우로 인명·재산 피해 잇따라
사망 4명·심정지 2명·실종 2명 등
실종·요구조자 탓 추가 피해 가능성

경남 산청군 부리마을 모습. 토사가 쓸려 내려와 접근조차 쉽지 않다. 김현우 기자 경남 산청군 부리마을 모습. 토사가 쓸려 내려와 접근조차 쉽지 않다. 김현우 기자

경남 산청군 산사태 사망자가 4명으로 늘었다. 아직 실종자 수색이 진행 중이라 사망자가 더 늘어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9일 경남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9시 기준 산사태로 인한 산청군 인명 피해는 사망 4명·심정지 2명·실종 2명 등 총 8명이다. 현재 실종자 2명의 생사가 확인되지 않아 사망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소방 당국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35분께 산청읍 부리마을 뒷산에서 산사태가 발생해 마을을 덮쳐 70대 A 씨와 20대 B 씨가 숨졌고, A 씨 부인이 실종됐다. 앞서 오전 10시 45분께 인근 산청읍 내리마을에서도 산사태가 발생해 70대 C 씨와 40대 D 씨가 숨졌다. 또 산청읍 병정리와 단성면 방목리에서도 산사태가 발생해 주민 2명이 매몰됐으며,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다. 단성면 방목리에서는 실종자 1명도 발생했다. 이밖에 물에 떠내려갔거나 고립된 10명은 구조됐지만, 구조 요청이 들어온 6명의 상태는 아직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산청군은 16일부터 18일까지 3일 동안 348.2mm의 비가 내렸으며, 19일에는 오후 6시까지 283.8mm의 집중호우가 쏟아지는 등 4일간 630mm가 넘는 물폭탄이 떨어졌다. 특히 같은 시각 시천면에는 787mm의 비가 내린 것으로 집계됐다.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19일 오후 8시께 산청읍 부리마을 일대를 둘러보고 있다. 경남도 제공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19일 오후 8시께 산청읍 부리마을 일대를 둘러보고 있다. 경남도 제공

이에 지역 곳곳에 산사태가 나고 침수 피해가 발생하면서 인명 피해가 잇따랐다. 또한 농경지 320ha와 딸기·사과농장, 양어장 등이 침수 피해를 입는 등 산청군에서만 120억 원 상당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으며, 단성·신안·신등·금서면 등 일부 지역은 19일 한때 정전과 통신 장애가 발생했다.

피해가 커지자 경남도와 산청군은 19일 오후 전 군민 대피령을 내렸다. 지자체가 관할 전 주민을 대상으로 대피 명령을 내린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11개 읍면 1065세대 1443명은 시천면 선비문화연구원 등 45곳으로 임시대피했다. 경남도 등은 산청군에 재난현장 통합지원본부를 설치하고 이재민과 유가족 지원에 나선다.

소방 당국은 오전 11시 25분에 대응 2단계, 오후 1시에는 산청군에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했고, 인근 대구·경북·충북·충남의 소방 인력과 장비가 동원됐다. 다만 침수되거나 막힌 도로가 많은 탓에 피해 현장 접근이 쉽지 않아 구조에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기상청은 19일 오후 10시를 기해 산청·하동·함양에 내려진 호우주의보를 해제했다. 이에 따라 지난 17일부터 경남 18개 시군에 순차적으로 발효된 호우특보는 모두 해제됐다.


김현우 기자 khw82@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